[상보]미국 뉴욕증시, 엔비디아-테슬라 최고치 찍을까 금리인하 따라 기술주-중소형주 힘겨루기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08-24 06:35:01
시장의 관심사는 이제 금리인하 속도로 옮겨가
9월 금리인하 폭을 25bp로 제한하는 표현은 굳이 쓰지 않았기 때문에
50bp 인하 여지도 남겨뒀다는 평가
▲미국 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인하를 가시화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 시기가 도래했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발언에 고무돼 전날의 하락폭을 대부분 메우며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전날과는 대조적으로 큰 폭 하락하며 주가 상승을 도왔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62.30포인트(1.14%) 오른 41,175.08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3.97포인트(1.15%) 상승한 5,634.6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58.44포인트(1.47%) 급등한 17,877.79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41.75포인트(2.79%) 급등한 5,228.65를 가리키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1.0% 상승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3%, 엔비디아 4.5%, 테슬라 4.5%, 아마존닷컴 0.5%, 구글의 알파벳 1.1%, AMD가 2.1%, ARM이 4.5% 상승하며 장을 마쳤다. 이에 비해 메타는 0.7%, 넷플릭스가 0.3% 하락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일제히 하락하고 있으며 오후 들어 하락폭이 커졌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8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57%포인트(5.7bp) 하락한 3.805%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97%포인트(9.7bp) 내린 3.913%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통화정책 기조전환(피벗)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면서 매수심리가 탄력받았다는 분석이다. 미국 뉴욕증시는 이미 연준이 9월부터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기정사실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직접 피벗을 공식화하자 다시 한번 매수심리에 불이 붙었다.

 

이날 파월 의장은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정책을 조정할 시간이 도래했다"며 "우리의 여정은 방향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피벗의 공식 선언으로 받아들여졌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시장은 9월부터 연준이 금리인하를 개시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시장의 관심사는 이제 금리인하 속도로 옮겨갔다.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따라 당장의 주가도 재산정해야 한다는 게 시장의 심리다. 파월 의장은 9월 금리인하 폭을 25bp로 제한하는 표현은 굳이 쓰지 않았기 때문에 50bp 인하 여지도 남겨뒀다는 평가가 나왔다.

 

르네상스매크로의 닐 두타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파월 연설에서 빠진 것은 '점진적'이라는 단어"라며 "어제 일부 (다른 연준) 발언자들과 달리, 파월 의장은 정책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크게 움직일 선택권을 없애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잭슨홀 심포지엄에 참석한 다른 연준 인사들은 전날 공개 발언에서 '점진적(gradual)' 또는 '체계적(methodical)'같은 단어를 사용했다. 시장에선 이런 표현이 '스몰컷(25bp 인하)'을 시사하는 암호라고 풀이하고 있다. 반면 파월 의장은 이날 연설에서 두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의도적 배제라는 게 월가의 해석이다.

 

이날 피벗 선언으로 금리인하 전망치도 더 내려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25bp 인하 확률을 65.5%로 반영하고 있다. 12월까지 100bp 인하 확률이 44%로 가장 높은 점도 전날과 다름이 없다.

 

반면 내년 6월까지 금리인하 폭이 200bp가 될 것이라는 베팅은 32.1%까지 확대됐다. 현재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다. 전날까지는 175bp 인하 확률이 34.4%로 가장 유력하게 꼽혔었다.

 

전반적인 강세 분위기 속에 기술주 주가가 더욱 날았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세를 보였다. 또한 중소형주 위주로 구성된 러셀2000지수도 3.19% 급등하면서 이날 강세가 대형 기술주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줬다.

 

리건캐피털의 스카일러 와인앤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파월 의장의 연설 후 "시장은 일종의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며 "시장은 사이클이 바뀌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잭슨홀 회의에 참석한 다른 연준 인사들도 파월 의장과 보조를 맞췄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은 거의 모두 인플레이션이 내려오고 있고 올해와 내년에 다수의 금리인하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중요한 것은 금리인하 규모가 아니라 (금리인하) 경로이고 금리인하 속도와 규모는 경제지표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더 둔화했다며 "우리의 첫 금리 움직임을 조금 앞당기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의 7월 신규 주택 판매가 전월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7월 신규 주택 판매(계절 조정치)가 전월 대비 10.6% 증가한 73만9천채(연환산)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6월 수치는 66만8천채로 상향 조정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