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전날 급등세에 지쳤나...나스닥-반도체 장후반 급락하며 마감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05-17 05:32:30
테슬라 5.8% 급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 1.0%, 엔비디아 2.5%, 아마존 1.9%,
넷플릭스 0.6%, 알파벳이 1.3% 떨어지며 마감
골드만삭스가 S&P500지수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 4,700에서 4,300으로 하향

▲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증시가 16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간신히 강보합 수준에서 마감했지만 나스닥 지수는 전날 급등에 따른 후유증인지 장 후반 급락하며 마감했다.

 

미국 증시는 이날 물가 상승세와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전장의 급등 마감에 따른 차익매물이 나타나며 하락세로 출발했으며 다우지수는 이후 상승세로 전환했지만 나스닥 지수는
방향을 전환하지 못한 채 시종 약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76포인트(0.08%) 오른 32,223.42로 장을 마쳤다. 이에 비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88포인트(0.39%) 떨어진 4,008.01로 마감을 했다.

 

또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42.21포인트(1.20%) 하락한 11,662.79로 장을 마감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0.31포인트(1.69%) 내린 2,920.06으로 종료했다.  

 

이날 테슬라가 5.8% 급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 1.0%, 엔비디아 2.5%, 아마존 1.9%, 넷플릭스 0.6%, 알파벳이 1.3% 떨어지며 마감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0.1%, 메타는 0.7% 소폭 상승하며 장을 마쳤다.

 

17일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증시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우려, 그에 따른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을 주시하고 있다.  

 

연준이 신속하게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당국자의 발언은 계속됐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오는 6월 기준금리가 50bp(=0.5%포인트) 인상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연준이 신속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최우선 과제는 인플레이션이라며 이를 억제하는 데 매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경제 지표 부진으로 세계 경기 둔화 우려도 강화됐다. 중국의 4월 소매판매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1% 급감했으며, 같은 달 산업생산도 작년 동월 대비 2.9% 줄었다. 전달 소매판매는 3.5% 감소했고, 산업생산은 5% 증가한 바 있다. 1~4월 인프라 투자와 민간 설비 투자 등이 반영되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8% 증가해 1∼3월 증가율 9.3%보다 낮아졌다.

 

미국의 경제 지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뉴욕주의 제조업 활동을 보여주는 5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마이너스(-) 11.6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치인 24.6 대비 지수가 35포인트 이상 급락한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예상치인 16.5도 큰 폭 하회했다.  

 

이 지수는 0을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가늠하며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것은 그만큼 제조업 활동이 위축됐다는 의미다.

 

골드만삭스가 S&P500지수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 4,700에서 4,300으로 하향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금리가 오르고, 성장이 둔화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올해 기업들의 주당순이익 증가율 전망치는 기존 5%에서 8%로 상향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바닥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진단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의 하락세로 장기 투자 관점에서 지수가 매력적인 진입 지점에 근접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CIBC 프라이빗 웰스의 데이비드 도나베디안 수석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우리는 시장이 좀 더 어려운 시기로 들어가고 있다. 시장이 지속 가능한 바닥을 찾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둔화하고 있다는 징후를 필요가 있다"며 "그것은 적어도 두어 달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디파이언스 ETF의 실비아 자블론스키 CEO는 CNBC에 "지금이 바닥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분할매수에 좋은 기회가 있다"라며 "현금을 갖고만 있다면 인플레이션으로 손실을 입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매도 피로가 잦아들 것이며, 시장이 다시 재정비 될 것이다. 다우와 S&P500지수가 지금부터 6개월~1년 사이에 조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