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 뉴욕증시, 금리 급등+테슬라 급락에 나스닥-반도체 1% 이상 급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04-03 04:07:44
엔비디아 1.0%, 테슬라 5.6%, AMD 3.0%, 애플 0.7%, 마이크로소프트 0.7%,
아마존닷컴 0.3%, 구글의 알파벳 1.0%, 코인베이스 3.1%, 넷플릭스 0.5%,
ARM이 2.1% 하락 이에 비해 메타는 0.4% 상승
▲미국 뉴욕증시는 2일(현지시간)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완연한 하락세다. 미국의 6월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지고,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이 상승하면서 주가지수가 조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중동에서 이스라엘과 이란이 일촉즉발의 긴장관계를 형성한 것도 투자심리를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3시 2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5포인트(1.07%) 하락한 39,141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포인트(0.85%) 내린 5,19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83포인트(1.12%) 하락한 16,213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87포인트(1.76%) 하락한 4,874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0% 하락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5.6%, AMD 3.0%, 애플 0.7%, 마이크로소프트 0.7%, 아마존닷컴 0.3%, 구글의 알파벳 1.0%, 코인베이스 3.1%, 넷플릭스 0.5%, ARM이 2.1% 하락하고 있다. 이에 비해 메타는 0.4% 상승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도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2시 46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4%포인트(3.4bp) 오른 4.363%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1%포인트(2.1bp) 하락한 4.697%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현지시간 오전 11시 1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7포인트(1.03%) 하락한 39,159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9포인트(0.94%) 내린 5,194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15포인트(1.32%) 하락한 16,181을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05포인트(2.13%) 하락한 4,856을 기록하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9% 하락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5.9%, AMD 4.0%, 애플 0.7%, 마이크로소프트 0.9%, 아마존닷컴 0.6%, 메타 0.6%, 구글의 알파벳 1.6%, 코인베이스 2.9%, 넷플릭스 1.1%, ARM이 2.1% 하락하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전에 혼조세를 보이고 있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2%포인트(3.2bp) 오른 4.361%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1%포인트(2.1bp) 하락한 4.697%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9시 39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2.78포인트(1.04%) 하락한 39,154.07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0.62포인트(0.97%) 내린 5,193.15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29.15포인트(1.40%) 하락한 16,167.69를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참가자들은 미국의 견조한 경제지표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진 점에 주목하면서 투자를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10년물 미국 국채수익률이 급등하면서 찬물을 끼얹고 있다. 

 

이날 장 초반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전일 전산장 마감가보다 8bp 이상 오른 4.40%를 나타냈다. 2년물 수익률과 30년물 수익률도 나란히 오름세를 보였다. 금리 상승은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의 가치를 절하해 성장주, 기술주의 약세 요인이 된다.

 

CME그룹의 페드와치 툴에 따르면 미 연준의 6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은 56.6%로 이전보다 약해졌다. 그동안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에 집중했던 시장은 6월 금리인하 기대 약화와 금리인하에 급하지 않은 연준의 태도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조정을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테슬라는 1분기 차량 인도와 생산 부진에 장중 5% 이상 하락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