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1.5%, 브로드컴 2.8%, 구글의 알파벳 0.5%, 넷플릭스 0.2%,
AMD 1.9%, ARM이 2.2% 하락 다만 테슬라는 1.9%, 팔란티어가 1.6% 상승
![]() |
▲미국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이란이 전면전 양상으로 공방전을 펼치면서 큰 폭 하락했다. 사진은 미국 연방준비제도 청사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 확전하면서 3대 지수가 급락세로 장을 마쳤다. 장 초반에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장기전으로 증폭될 가능성에 하락폭이 커진 모습이었다.
1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9.83포인트(1.79%) 급락한 42,197.79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68.29포인트(1.13%) 하락한 5,976.97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55.66포인트(1.30%) 하락한 19,406.83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36.91포인트(2.61%) 급락한 5,112.24를 마크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0.8% 하락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2.0%, 애플 1.3%, 아마존닷컴 0.5%, 메타 1.5%, 브로드컴 2.8%, 구글의 알파벳 0.5%, 넷플릭스 0.2%, AMD 1.9%, ARM이 2.2%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1.9%, 팔란티어가 1.6%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현지시간 오후 4시 0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56%포인트(5.6bp) 상승한 4.412%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48%포인트(4.8bp) 오른 3.954%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9시 4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2.15포인트(1.17%) 하락한 42,465.47을 나타내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43.26포인트(0.72%) 내린 6,002.0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36.72포인트(0.70%) 하락한 19,525.76을 가리키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이날 이란 내 여러 목표물에 대해 공습을 감행했으며, 이에 이스라엘 국방장관 이스라엘 카츠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번 사태로 중동 지역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불거지면서 국제유가가 급등세를 나타냈다.
에너지 가격 급등과 함께 금값도 상승하며 전통적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다시 부각됐다. 달러화도 강세를 보였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반응이 예상된 흐름이라고 평가했다. 바이탈놀리지의 애덤 크리사풀리는 "시장 반응은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유가는 급등하고, 주식은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란의 군사력 열세로 인해 직접적인 대규모 보복 가능성이 제한적이며, 최근 OPEC+(주요 산유국 협의체)의 증산 기조도 시장의 과도한 반응을 일정 부분 억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을 통해 이란에 협상 테이블에 나설 것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다음 공격은 더 잔혹할 것"이라며 "이란은 모든 것을 잃기 전에 반드시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럭셔리 가구 소매업체 RH는 올해 1분기에 '깜짝 흑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해 주가가 6.93% 급등하며 마감했다.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 업체 어도비는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구독 매출 및 계약수주잔액의 증가율이 다소 둔화된 데 따른 우려에 주가가 5.32% 하락하며 마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