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알파벳 0.4%, 테슬라 5.2%, 넷플릭스 2.9%, 팔란티어 4.4%,
AMD 3.1%, ARM이 2.9% 하락 다만 애플은 1.4%, 아마존닷컴 0.7% 상승
![]() |
▲미국 뉴욕증시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이 재점화하면서 다우지수를 제외한 다른 지수들이 하락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기술주와 반도체주들이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이 재점화하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다우지수는 급등세를 보여 대조를 이룬 반면, 나스닥지수와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에서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 특히 테슬라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감세안을 두고 갈등을 빚자 5% 넘게 급락하고 있다.
1일(미국 동부시간) 오후 1시 57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0포인트(1.05%) 상승한 44,555를 마크하고 있다.
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4포인트(0.06%) 오른 6,208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1포인트(0.55%) 빠진 20,257을 가리키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3포인트(0.25%) 하락한 5,532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2.2% 하락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9%, 메타 2.1%, 브로드컴 3.4%, 구글의 알파벳 0.4%, 테슬라 5.2%, 넷플릭스 2.9%, 팔란티어 4.4%, AMD 3.1%, ARM이 2.9% 하락하고 있다. 다만 애플은 1.4%, 아마존닷컴이 0.7% 상승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1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1%포인트(3.1bp) 상승한 4.257%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58%포인트(5.8bp) 오른 3.779%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9시 3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80포인트(0.13%) 하락한 44,037.97을 나타내고 있었다. 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17.25포인트(0.28%) 내린 6,187.7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0.92포인트(0.40%) 빠진 20,288.81을 가리키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안의 의회 표결과 이에 따른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 미국과 주요국의 무역 협상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 감세안은 이날 상원 투표에서 극적으로 통과했다. 50대50으로 찬반 동수를 이뤘지만 JD 밴스 부통령의 타이 브레이커 행사로 통과했다. 이후 하원 재투표로 넘어가 통과를 기다리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미 독립기념일) 전까지 감세안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주요 국가 무역 협상 결과를 끌어낸다는 구상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금요일에 법안이 서명되길 바라며, 다음 주에 무역 협상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 자석을 수출하고 있다면서도 "더 빠른 속도로 이뤄지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인도와 무역 합의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카로바르 캐피털의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우리는 강력한 분기를 보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나 많다"면서 "무역 협상이 지연되거나 세금법안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 강세론자가 얼마나 확신을 가졌는지 알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참여자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촉각을 기울였다. 파월 의장은 이날 오전 포르투갈에서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주재 신트라 포럼에 참석해 중앙은행장들과 최근 경제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은 가시화되지 않았다면서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나 규모, 지속성은 매우 불확실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없었다면 기준금리가 현 수준보다 낮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감세안에 대해 비판하는 머스크를 향해 "보조금이 없다면 머스크는 아마도 사업을 접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정부효율부(DOGE)에 이 문제를 면밀하게 검토해 보라고 해야 할까 모르겠다"며 "엄청난 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