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1.5%, 브로드컴 3.0%, 구글의 알파벳 1.3%, 넷플릭스 1.7%,
팔란티어 1.5%, AMD 5.6%, ARM이 3.9% 상승 다만 테슬라는 1.8% 하락
![]() |
▲미국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이란과 이스라엘 휴전에 힘입어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중동지역에서의 긴장 완화로 1% 이상의 급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휴전에 들어가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시장에 확산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1시 3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5포인트(1.09%) 상승한 43,047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4포인트(1.07%) 상승한 6,089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84포인트(1.45%) 뛴 19,915를 가리키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77포인트(3.38%) 급등한 5,421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0.9%, 엔비디아 2.0%, 애플 0.3%, 아마존닷컴 2.5%, 메타 1.5%, 브로드컴 3.0%, 구글의 알파벳 1.3%, 넷플릭스 1.7%, 팔란티어 1.5%, AMD 5.6%, ARM이 3.9% 상승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는 1.8% 하락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하락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1시 1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22%포인트(2.2bp) 하락한 4.300%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2%포인트(1.2bp) 내린 3.817%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9시 5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11포인트(0.73%) 상승한 42,893.89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6.41포인트(0.77%) 상승한 6,071.58을,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10.08포인트(1.07%) 오른 19,841.06을 가리키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란과 이스라엘은 이날부터 휴전에 들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동부시간으로 이날 새벽 1시경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이 발효됐다고 전했다. 이스라엘도 양국이 휴전에 들어갔음을 공식 확인했다.
이 같은 소식에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아시아 시장에서부터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유럽장 들어 상승폭을 확대했다. 이란이 원유 수송의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가능성도 작아지면서 국제유가가 4% 넘게 급락한 점도 주가를 밀어 올렸다.
UBS글로벌웰스매니지먼트의 솔리타 마르첼리 미주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확전과 그에 따른 휴전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지정학적 충격이 세계 금융 시장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며 "투자자들이 펀더멘털에 다시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리의 견해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다만 휴전 발표 이후 이란이 이스라엘 북부에 미사일을 발사하고 이스라엘이 이를 요격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불안감도 완전히 해소되진 않았다. 이스라엘은 이란이 군사 공격을 감행할 경우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천명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의회 증언에도 시선이 쏠렸다. 파월은 이날 연방 하원에서 반기 통화정책 보고에 나선다. 파월은 이날 배포한 사전 증언에서 "연준은 정책 조정을 고려하기에 앞서 경제 향방을 조금 더 지켜볼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최근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잇따라 공개 석상에서 7월 금리인하를 지지하고 나서며 내부 이견이 표출된 가운데 파월은 기존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것이다.
HSBC가 브로드컴에 대한 투자 의견을 '보류'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영향으로 매수세가 몰리며 3%대 상승 중이다. 브로드컴의 강세에 반도체주 전반적으로 열기가 확산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2% 오르고 있으며 TSMC는 3% 이상, AMD는 5%대 상승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