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 한국연구재단]](https://www.socialvalue.kr/news/data/20210421/p179590200647491_915.jpg)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전문대 유턴입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문대학 유턴 입학 지원자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1만268명으로, 2015년 5489명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평생 직업의 기반을 닦으려는 유턴 입학자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전문대학 LINC+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사업(전문대학 LINC+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유턴 입학생이 전문성과 실무능력을 갖춘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재로 거듭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대림건설 입사에 성공한 영진전문대학교 실내건축시공관리반 출신의 김함대 씨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수도권의 한 예술대학 개그MC학과에 입학한 김 씨는 배우의 꿈을 품고 방송국과 극단에서 사회생활을 경험했다. 그는 군 복무 중에 기술을 배우는 길만이 미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 높은 취업 성과를 보이는 영진전문대학교에 입학했다.
대림건설에 입사한 김 씨를 비롯, 실내건축공사업 분야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는 기업에 16명의 학생이 취업한 실내건축시공관리반은 이 대학의 대표적인 사회맞춤형 협약반이다. 국내 실내건축시공분야 1위 기업인 ㈜국보디자인을 비롯한 ㈜다원디자인, 삼원S&D 등 도급 순위 ‘빅3’ 업체를 포함해 8개의 우수 협약 산업체와 함께 시공 분야 전문 기술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영진전문대학교와 수성대학교가 참여하고 있는 전문대학 LINC+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사업은 구인난과 구직난 해소를 목적으로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이 사업은 지난해 기준 5개 권역(수도권, 충청강원권, 대경권, 호남제주권, 동남권)에서 총 44개 대학이 참여해 3500개 기업과 함께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했다. 현재까지 2만여 명의 학생이 교육과정을 이수해 지역 중소기업 및 국내외 대기업에 입사하는 등 여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소셜밸류= 오도현 기자]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