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팜 현장/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기업들은 ‘스마트팜’에 주목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순당, 농심, 농협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스마트팜 열풍이 일고 있다. 또 지자체에서도 스마트팜 조성에 적극 행보에 나서며 스마트팜 사업이 급성장을 이루고 있다.
스마트팜은 말 그대로 스마트(Smart)와 팜(Farm)을 합친 합성어다. 스마트한 정보기술을 이용해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습도·햇볕량·이산화탄소·토양 등을 측정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켜 식물들을 재배하는 기술이다.
또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생산성 및 효율성, 고품질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팜은 노지 재배에 비해 40배 이상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어 정부도 올해 시설원예 13.7%, 축산업 22.7%까지 높이겠다는 정책을 내세웠다.
경상남도 하동군이 ‘2023년도 소규모 스마트팜조성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돼 총 15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이 사업으로 스마트팜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청년농업인에게 옥종면 일원에 7200㎡(약 2200평) 규모의 스마트팜 온실신축(9연동)과 ICT융복합 시설 및 연계시설 등을 지원하게 된다.
충청남도가 ‘청년 맞춤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 사업’ 유치에 나섰다. 이에 보령시가 사업 유치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청년 맞춤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사업은 지자체에서 2.5ha 이상 부지를 제공해 2ha 이상 첨단 임대형 스마트팜 온실을 조성하고 입주 희망 청년농을 모집해 임대 운영한다.
앞서 보령시는 지난 2020년부터 약 28억 원의 예산을 들여 스마트팜 온실 신축, 자동 제어시설 등을 면적 12ha 규모에 총 43개소를 조성하고, 신규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고 있다.
이 외에도 고흥, 예산, 대전, 의성 등 전국에서 스마트팜 조성에 힘쓰고 있다. 아울러 청년 귀농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지자체에 이어 기업들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스마트팜’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국순당은 스파트팜 시장 개척 초기에 ‘팜에이트’의 지분 투자를 통해 2대 주주로 올랐다. 그러면서 경영난에 허덕이던 국순당의 숨통을 트이게 해줬다. 이를 바탕으로 국순당은 자회사 ‘팜업’을 설립하며 직접 스마트팜 사업에 뛰어들었다.
농협도 스마트팜 도입을 원하는 중소농·청년농 등을 본격 지원하기 위해 제4~6호 스마트농업지원센터 구축과 관련한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농협은 앞서 지난해 충남 동천안농협·서울 영동농협·경기 양평농협 등을 제1∼3호 시설 조성 지역으로 선정해 작년 12월 양평농협 스마트농업지원센터가 준공됐다. 이곳은 3960㎡ 규모로 자동화 육묘장(모나 묘목을 기르는 장소)과 경화장(모내기 전 벼를 키우는 곳)·스마트팜이 결합된 복합생산지원센터를 갖췄다.
앞으로 농협은 스마트농업 관련 실습교육과 작물 재배, 창업지원, 영농기술 전파 등이 이뤄지는 센터를 내년까지 최대 16곳 구축할 방침이다.
농심도 스마트팜 사업에 오랜기간 동안 공을 들인 끝에 최근 오만에 스마트팜 컨테이너 수출에 성공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또 UAE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도 스마트팜 수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에 농심은 사우디아라비아에 한국 품종의 딸기를 연중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팜을 설치해 딸기의 당도, 크기, 맛이 뛰어난 한국 딸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총 사업규모는 3천만 달러다.
농심은 스마트팜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써 성장동력을 키워 앞으로 1억 달러 이상의 신규 비즈니스로 기회 창출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아직까지 스마트팜 생산량이 국내 전체 농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와 기업에서 스마트팜 사업에 투자와 개발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팜이 미래 먹거리로 자리잡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