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보잉사 로고/사진=연합뉴스 자료/최성호 기자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미중 관세전쟁 여파로 중단됐던 보잉 여객기의 중국 인도가 약 1년여 만에 재개됐다. 이번 인도는 미국과 중국이 ‘관세 휴전’에 합의한 이후 처음 이뤄진 것으로, 양국 간 긴장 완화를 위한 상징적 조치로 해석된다.
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중국 제일재경 등은 14일(현지시간) 미국 보잉사가 중국의 지샹항공(준야오 항공)에 보잉 787-9 드림라이너 여객기를 인도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인도는 미국 워싱턴주의 페인필드 공항에서 출발한 항공기가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 도착하면서 이뤄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해 4월 고율 관세를 부과한 후 중국 항공사들이 보잉 기체 인수를 전면 중단한 이후 약 1년 만의 첫 사례다. 중국 정부는 자국 항공사들에게 보잉 인수를 보류하라는 지침을 내렸고, 실제로 중국 샤먼항공이 주문했던 보잉 737맥스 기체도 올해 4월 미국 시애틀로 반환된 바 있다.
하지만 지난달 미중 양국이 90일 간 관세 부과를 유예하는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항공기 인도 재개가 가능해졌고, 보잉도 지난달 “6월부터 중국행 인도가 재개된다”고 예고한 바 있다.
중국은 보잉의 최대 해외 고객국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중국에 인도될 예정인 보잉 항공기는 약 50대에 달한다. 이번 지샹항공의 기체 인수는 항공사들이 도입 대금을 실제 지급하는 시점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특히 상징적이라는 평가다.
한편, 이 인도는 또 다른 중대 사건과 시기적으로 맞물려 주목을 받았다. 바로 12일 인도 에어인디아 소속 보잉 787-8 드림라이너의 추락 사고로 270여명이 사망한 참사 이후 단 이틀 만의 인도이기 때문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번 인도는 보잉 입장에서 사고 여파를 수습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를 통해 미중 간 산업 교역 정상화 신호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