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단체, 김문수 후보에 정공법 제언, “日과 경제 연대, 고급 인력 유치, 美 관세 대응 시급”

경제일반 / 최성호 기자 / 2025-05-22 15:42:17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등 참석자들이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 5단체장 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최 회장, 김 후보,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사진=연합뉴스 제공/최성호기자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뉴노멀’ 위기에 빠졌다는 경고 속에, 경제5단체 수장들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만나 신성장 동력 발굴과 구조개혁의 시급성을 호소했다.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5단체 간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손경식 경총 회장, 류진 한경협 회장, 윤진식 무역협회장, 최진식 중견련 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장이 총출동했다.

최태원 회장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침체에 대해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과 구조 개혁이 절실하다”며 “일본과의 경제 연대를 통해 첨단·벤처 산업의 ‘사이즈’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연합으로 경제의 ‘룰 메이커’가 되어야 한다”며 고급 인력 유치, 소프트웨어 산업화, 에너지 비용 절감 등을 연계한 공동 전략을 제안했다.

특히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고급 두뇌 유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500만 명 수준의 해외 고급 인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저임금 노동자 유입은 한국 경제에 별 도움 되지 않았다”고 단언했다.

“정년 연장보다 재고용”…노란봉투법 강력 반대
 

손경식 경총 회장은 정년 연장 논의에 대해 “일률적인 법정 정년 연장은 청년 채용을 막는다”며, 퇴직 후 재고용 방식을 통한 세대 간 균형 전략을 제안했다.

또한 최근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에 대해선 “사용자의 방어 수단이 사라지면 산업 생태계가 무너진다”고 경고하며, 노조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제한 법안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손 회장은 “근로시간은 기업 자율성이 존중돼야 한다”며 주 4.5일제 확대 움직임에 대해서도 현실성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 5단체장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랜드마크·대기업-스타트업 연계 필요”…“美 관세 대응 시급”


류진 한경협 회장은 건설업·내수 부양을 위한 랜드마크 프로젝트, 대기업-스타트업 연계, 사업구조조정 활성화 등을 제안하며 “마크롱 대통령은 한국 기업과 직접 소통했다. 우리도 정부가 기업과 더 자주 만나야 한다”고 꼬집었다.

윤진식 무역협회장은 미국의 관세 정책 대응을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그는 “상호관세 시행 전 민관이 함께 아웃리치를 진행해 우리 산업의 입장을 개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수출 중소기업 지원과 비관세 장벽 완화, 규제 혁파 기반의 글로벌 성장 사다리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중견기업은 언제든 탈출 가능”…상속세·과표 개선 촉구
 

최진식 중견련 회장은 “대기업은 국내 인프라로 움직이기 어렵지만, 중견기업은 언제든 해외로 나갈 수 있다”며 상속·증여세 부담과 과표 기준 개편의 시급성을 언급했다.

그는 “8,800만 원 이상이면 35% 세금을 내는 나라는 누가 근로 의욕을 갖겠나”며 고소득 근로자에 대한 세 부담 완화를 주장했다. 아울러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을 통해 고리·월성 원전의 폐연료 재처리를 허용해 전력 단가를 낮추는 방안도 제시했다.

김문수 “대통령실에 기업 전담 수석 신설”…기업 친화 선언


경제단체장들의 쏟아지는 정책 제언에 김문수 후보는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대통령이 되면 대통령실 내 기업 민원 전담 수석을 신설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국상의 회장단과 삼성전자, SK, 현대차 등 주요 기업 고위 임원들도 함께 참석해 정책 소통 창구로서의 간담회 의미를 더했다.

한편, 경제5단체는 앞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와도 간담회를 가진 바 있으며, 대선을 앞두고 ‘4대 분야 100대 과제’를 각 정당에 전달하며 산업계 입장 반영을 촉구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