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부실징후기업이 전년 대비 25개 기업이 증가하며 올해 185개 기업이 선정됐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부실징후기업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가 엔데믹으로 들어서면서 올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이 ‘2022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185개 기업을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C등급은 84개 기업, D등급은 101개 기업으로 각각 5개, 20개 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세부평가 대상 확대에 따른 자연 증가분 외에도 D등급을 중심으로 부실기업이 증가했다. 19년도 151개, 20년도 91개, 21년도 81개에 이어 22년도 101개까지 늘어났는데 이는 한계기업 증가 및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데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부실징후기업들의 업종별 현황을 보면 기계장비업이 20개 기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금속가공, 부동산, 도매·상품중개 기업이 뒤를 잇고 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2년 9월 기준 1조5천억 원 수준으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에는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천367억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로 인한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폭은 0.01%포인트 수준으로 미미한 변화폭을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은 올해 워크아웃 신청기업(C등급)에 대해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또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기업(B등급)에 대해서는 채권은행 신속금융지원과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금리할인이나 만기연장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업부, 중기부, 캠코 등 유관기관의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지원 외에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에 실시한다.
금감원은 기업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신용위험평가 실효성 제고 및 제도 개선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