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업집단 포털 자료/사진=리더스인덱스 제공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국내 4대 그룹이 최근 3년간 자산과 순이익을 폭발적으로 늘렸지만, 고용은 사실상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21대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자들의 인력 채용에 대한 선거 공약이 기대 된다.
최근 기업의 이익 추구는 거세졌지만, 그 이익이 일자리 확대로 이어지지 않는 ‘불균형 성장’이 고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0일 기업분석기관 리더스인덱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의 자산총액은 3년 새 무려 15% 증가했고, 순이익은 30.8%나 뛰었다. 그러나 고용 증가율은 사실상 0%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보면 4대 그룹의 자산은 2022년 1,255조원에서 지난해 1,444조원으로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매출 증가가 미미한 상황에서도 3분의 1 가까이 급증했다.
이 기간 4대 그룹의 직원 수는 74만5,691명에서 74만6,486명으로 고작 795명 증가에 그쳤다. 반면 30대 그룹 전체 고용은 3년간 11만4,000여 명 늘어나며 8.8%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대 그룹 전체의 당기순이익이 0.8% 증가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4대 그룹은 ‘많이 벌고 적게 뽑은’ 전형적인 고용 외면 행태를 보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수익은 챙기되 책임은 회피하는 기업행태”라고 지적한다.
재계는 AI·전기차·신사업 전환 과정에서 효율 중심 경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이익 구조가 전례 없이 개선된 상황에서 고용 확대가 뒷전으로 밀린 것은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재계 관계자조차 “대기업이 고용 창출에 소극적인 것은 사회적 신뢰를 갉아먹는 요인”이라며 “특히 청년 일자리 부족 문제가 심각한 한국 사회에서 대기업의 책임 있는 자세가 절실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삼성전자·현대차그룹 등은 최근 주주환원·투자계획 발표에는 적극적이지만, 고용 계획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많이 벌었지만, 함께 나누는 데에는 인색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한편, 21대 이번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대기업 집단의 인재 채용과 관련해 대선 후보자들의 기업 채용과 관련한 선거 공약에 기대를 걸어본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