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 시스템, 2023년 5월 중 운영 목표로 진행될 예정
![]() |
▲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날로 높아지는 금리에 정부가 저금리의 대환대출 추진에 나서며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금융소비자들이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진행된 제4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소비자가 보다 손쉽게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온라인·원스톱으로 대환대출의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한국은행은 지난 1년여 동안 총 7회, 2.25%p를 인상했으며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 또한 2022년 9월 기준으로 5.15%까지 치솟으며 9년 내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정부는 소비자가 손쉽게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환대출의 활성화를 추진한다.
현재는 인프라 미비로 인해 대환대출의 참여가 저조하고 소비자의 기존대출 상환을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기에 소비자와 금융회사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큰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금융회사 간 상환절차를 금융결제원망을 통해 중계하고 전산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그렇게 되면 소비자는 대환대출의 모든 절차가 온라인·원스톱으로 이뤄져 시간과 비용 절감과 대환대출 시장 참여가 증가해 이용이 늘어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회사 별로 대환대출 상품도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해 소비자의 편리성과 금융회사의 상품이 늘어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 시스템 구축은 2023년 5월 중 운영을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운영에 앞서 시범운영을 통해 시스템 이용을 점검하고 그 성과와 플랫폼과 관련한 국제기준 논의동향 등을 고려하는 운영방안을 조정할 계획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