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지표 표준 실무지침서 - ESG 영향평가’
[소셜밸류=박완규 기자] 오케이미디어그룹은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혼란과 과잉 정보 속에서 방향을 잃고 있는 가운데, ESG 공시의 실질적 기준을 제시하는 '공시지표 표준 실무지침서 - ESG 영향평가' 한글 및 영문판를 동시 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지침서는 CDP, GRI, TCFD, SASB, UNGC 등 주요 국제 공시 기준을 총망라하며, 한글판과 영문판 각각 1·2권 구성으로 제작됐다. ESG 경영 실무자와 컨설턴트를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실제 공시에 바로 활용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특히 국내 ESG 분야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박범석, 윤성도, 이양우, 윤성임, 이현준, 최용국, 홍성훈, 한가늠 등 박사급 전문가 8인이 공동 집필에 참여해 복잡한 ESG 공시 기준과 실무 간의 간극을 메우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침서에는 ▲국제 기준별 등록 절차 ▲공시 요건 ▲핵심 평가 항목 등의 세부 내용이 포함돼 있으며, 기업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 도움을 주도록 설계됐다.
또한 부록에서는 ESG 위험 평가 프레임워크, 이해관계자 매핑 도구, 데이터 수집 체크리스트, 국제 규정 목록 등 즉시 활용이 가능한 실무 도구들을 제공해 업무 적용성과 현장 활용도를 높였다.
출판사인 오케이미디어그룹은 이번에 출간한 '공시지표 표준 실무지침서-ESG 영향평가'가 ESG 경영을 처음 도입하려는 기업은 물론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하려는 기업 모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실무 지침서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동 저자인 박범석 박사는 “ESG 영향평가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지침서는 기업이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접근으로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 실무 중심 가이드”라고 강조했다.
윤성도 저자는 “복잡하게 얽힌 국제 기준 속에서 기업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윤성임 저자는 “공시의 핵심은 투명성과 신뢰성”이라며 “그린워싱을 넘어 진정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기업에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양우 저자는 “신뢰할 수 있는 ESG 영향평가를 위해 데이터의 체계성과 일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현준 저자는 “기업이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ESG 성숙도를 단계별로 높일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최용국 저자는 “위험 관리는 사후 대응이 아니라 사전 예방이 핵심”이라며, 실무적 관점의 리스크 관리 방안을 제안했다.
한가늠 저자는 “지속가능 가치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에서 비롯된다”고 역설했다. 홍정훈 저자는 “ESG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 가능한 경영 활동이며, 문화적 내재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출판사 관계자는 “이 지침서는 기존에 출간된 '탄소중립 ESG Management Guide'에 이은 후속작으로, 국내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 및 탄소중립 공시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핵심 기준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제3자 인증 기준에 기반한 공시 체계를 다루고 있어 그린워싱의 유혹을 방지하고 신뢰도 높은 ESG 경영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