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롯데지주 제공.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롯데그룹은 14일 부산에서 '2022 하반기 밸류 크리에이션 미팅(VCM)'을 열고 그룹 경영 계획과 전략 방향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국제 정세 불안정성이 고조되고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면서 기업 경쟁력을 높여 복합 위기를 넘어설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번 VCM에는 신동빈 롯데 회장을 비롯해 송용덕·이동우 롯데지주 대표, 4개 사업군 총괄 대표, 각 계열사 대표 등 80여명이 참석한다. 신동빈 회장은 통상 맨 앞 좌석에서 발표를 경청했지만 이번 VCM에서는 참석자들이 유연한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도록 뒷 좌석으로 옮겨 회의에 참여한다.
이번 VCM은 '턴어라운드 실현을 이끈 사업 경쟁력' 주제의 외부 강연으로 시작한다. 이후 그룹 신사업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비전과 추진 로드맵을 검토한다. 사업군별 경영 환경과 전략 방향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신동빈 회장이 경쟁력 있는 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근본적 변화에 대한 당부와 CEO 리더십 강조 메시지를 전할 예정이다.
롯데는 사업 확대와 재편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고도화 방안을 논의한다. 헬스 앤 웰니스·모빌리티·인프라 영역에서 바이오 CDMO·헬스케어 플랫폼·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을 추진, 그룹 주력 사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식품·유통·화학·호텔 사업군은 차세대 식품 소재와 수소 에너지 등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동시에 기존 경쟁력 강화 방안을 검토한다. 지속 가능 경영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ESG 활동과 산업 안전, 재무, 정보 보호 등 리스크가 상존하는 분야에 대한 선제 대응도 강조한다.
4개 사업군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 후 처음으로 중장기 전략을 제시한다. 사업군별 ▲산업 트렌드와 경영 활동 리뷰 ▲신사업과 글로벌 사업 추진 계획 ▲실행력 제고를 위한 조직 역량 강화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식품군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메가 브랜드 육성과 밸류 체인 고도화, 성장 인프라 구축 등을 모색한다. 유통군은 '고객 첫번째 쇼핑 목적지'라는 새 비전을 바탕으로 조직 문화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등에 이르는 혁신을 강조한다. 화학군은 수소 에너지, 전지 소재, 리사이클·바이오 플라스틱 등 신사업 추진 계획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호텔군은 사업구조 재편과 조직 체질 개선 전략을 공유한다.
그룹 인프라 구축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롯데글로벌로지스와 롯데정보통신도 전략 방향을 점검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물류 인프라 투자 확대와 DT·IT기반 물류 혁신, 사업 영역 다각화 계획을 다룬다. 롯데정보통신은 그룹 밸류 체인을 연결하는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통합, 신성장 동력 확보 위한 5대 핵심 사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한다.
롯데는 전 그룹사가 모인 자리에서 '2030 부산 세계 박람회' 유치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앞서 롯데는 송용덕·이동우 롯데지주 대표가 팀장을 맡는 전사 차원 조직 '롯데그룹 유치 지원 TFT'를 구성했다. 태스크 포스 팀(TFT)에서는 식품·유통군 국내 활동, 호텔·화학군이 해외 활동을 중점적으로 담당한다. 롯데는 향후 TFT를 중심으로 국내외 사업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동원해 부산엑스포 유치 활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식품·유통군은 전국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롯데리아 등 유통, 프랜차이즈 매장에 설치된 자체 미디어를 활용해 매장 방문 소비자 대상으로 엑스포 유치 홍보 캠페인을 펼친다. 식품 패키지에 유치 응원 문구를 더한 제품도 출시해 엑스포 유치 분위기를 조성한다.
호텔·화학군은 해외 표심 잡기 활동을 전개한다. 미국·베트남 등 해외에 위치한 롯데호텔과 미국·일본·호주 등 해외 공항 면세점을 거점으로 부산시와 엑스포 유치 준비 현황을 알린다. 또 엑스포 유치 기원 문구를 추가한 하반기 그룹 캠페인 영상을 117개국에 송출할 예정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