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중심 간담회 ‘배제 논란’ 제기
“제련소 개선·지역 생존권 함께 봐달라”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봉화·태백·석포 지역 주민들이 유엔(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에 “현장에서 살아가는 실제 주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들어달라”며 공식 서한을 전달했다. 일부 환경단체 중심으로 진행된 간담회가 ‘민심 왜곡’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강하게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 |
| ▲영풍 로고 이미지/사진=영풍 제공 |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13일 피차몬 여판통 UN 기업·인권 실무그룹 위원장에게 이메일 형식의 서한을 보내 주민 의견의 배제 문제를 정식으로 알리고 균형 잡힌 판단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공투위에 따르면 지난 11월 1일 진행된 간담회는 환경단체와 변호사들이 위원장과 함께 석포면을 방문해 개최했다고 발표됐지만, 정작 석포면에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은 초대조차 받지 못했다. 공투위는 “간담회에는 석포와 인근 지역 주민이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저희가 바로 그 ‘진짜 주민’들”이라고 강조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환경단체는 간담회 전날 비공식 메신저 메시지로만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으며, 주민 대상 안내나 참여 요청은 전혀 없었다. 공투위는 “일방적 주장만을 전체 민심처럼 포장해 UN에 전달하려는 시도로 보인다”며 “이는 명백한 민심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공투위는 동시에 석포제련소의 환경 개선 노력도 함께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민들은 “환경단체가 주장하는 낙인과 달리 제련소는 폐수 무방류 시스템,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에 약 5,200억 원을 투자해 왔다”며 “상·하류 수질도 환경 기준을 충족하고 있고, 멸종위기 1급 수달 서식이 확인되는 등 현장의 변화는 주민들이 체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석포·봉화·태백 주민 500여 명은 제련소 이전 논의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공투위는 “우리는 일터와 삶터, 아이들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목소리를 냈다”며 “이것이 석포에 사는 주민들의 진짜 이야기”라고 말했다.
공투위는 UN 실무그룹에 “특정 환경단체의 주장만이 아니라 제련소 환경 개선 현황, 지역 경제와 고용, 주민 생존권까지 함께 검토해 달라”고 요청하며 “주민 대표와의 간담회, 현장 확인, 자료 제공 등 모든 대화에 열려 있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