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석희 SK온 사장이 18일 열린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이석희 SK온 사장이 배터리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해 실적 반전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18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하반기 불확실성과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운영 효율화를 얼마나 빠르게 진행하느냐가 흑자 전환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SK온은 최근 1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 상반기에도 3,658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 사장은 “통합 법인은 재무적으로 당연히 유리하다”며 “합병하는 SK엔무브는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SK온과 SK엔무브는 지난달 말 이사회를 열고 합병을 결의했으며, 오는 11월 1일 통합법인이 공식 출범한다. 합병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시너지 확보가 기대된다.
SK온의 실적 반등 열쇠는 미국 공장 가동률에 달려 있다. 회사의 평균 가동률은 2023년 87.7%에서 지난해 43.6%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52.2%로 반등했다. 이 사장은 “상승한 미국 공장 가동률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고객과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SK온은 현재 미국 조지아에서 단독 공장(SKBA) 2곳을 운영 중이며, 올해 3분기에는 포드와의 합작공장인 블루오벌SK(BOSK) 켄터키 1공장이 가동에 들어간다. BOSK 공장 2곳과 현대차와의 합작공장 1곳도 2026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미국 현지 추가 투자 여부에 대해 이 사장은 “투자 불확실성이 커 권역별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보조금 이슈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며, 배터리 업계의 향후 투자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편, SK그룹은 18일부터 사흘간 ‘이천포럼 2025’를 열고 AI 생태계 확장과 각 사의 실행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개막 행사에는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그룹 주요 경영진과 학계·업계 전문가 25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사장은 “제조 인공지능(AI) 관련 활동을 확대 중”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더 깊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