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MP 출시 이전 2018~2020년 신규 택시 중 전기차 비중은 2.3% 그쳐
20만km, 30만km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서 전기차 내구성을 몸소 입증
![]() |
▲현대자동차 더 뉴 아이오닉 5 |
[소셜밸류=김재용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전기차가 택시업계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E-GMP 전기차의 높은 상품성과 내구성에 대한 긍정적 경험담이 업계에서 입소문을 탄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E-GMP 기반 전용 전기차인 현대차 아이오닉 5와 기아 EV6가 시장에 출시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택시는 3만3400대로 밝혀졌다. 같은 기간 신규 등록된 전체 택시는 11만1583대로 전기차 택시의 비중은 약 30%에 달한다.
E-GMP 출시 이전 3개년(2018년~2020년)간 신규 택시 중 전기차의 비중은 2.3%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E-GMP 기반 전용 전기차 출시 후 약 13배 급증했다.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전기차 택시로 가장 많이 등록된 차종은 1만4804대의 아이오닉 5이며, EV6(7353대)와 아이오닉 6(3913대)가 각각 2위, 4위로 E-GMP 기반의 세 차종이 해당 기간 등록된 전체 전기차 택시의 78%를 차지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택시기사 4명 중 3명꼴로 E-GMP 기반 전용 전기차를 선택한 셈이다.
이밖에 기아 니로 플러스(4237대)와 니로 EV(2571대)가 각각 3위, 5위에 올랐고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446대)이 6위로 뒤를 이었다.
하루의 대부분을 차량 안에서 보내는 택시기사들의 전기차 선택 비율이 일반인보다 월등히 높은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에서 택시 영업용 트림을 운영하는 차종은 아이오닉 5와 니로 플러스뿐이다. 이에 EV6, 아이오닉 6 등 일반 고객용 차량을 구매한 다음 개조해 운행하는 택시기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택시 업계 측은 E-GMP 전기차에 대해 ‘우수한 주행가능거리 및 전비,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 주행 성능과 정숙성이 강점’ ‘낮은 연료비·유지비라는 전기차의 공통된 속성 외에도 E-GMP의 뛰어난 상품성이 택시 영업의 질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그런가 하면 20만km, 30만km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를 기록해 전기차 내구성을 몸소 입증한 택시기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9월 EV6를 출고한 택시기사 김병철(50) 씨는 2년 8개월간 약 31만km를 운행했다. 최근 배터리 진단 평가를 받은 결과 누적 주행거리 31만km를 넘긴 EV6의 배터리 수명은 97.3%를 기록해 여전히 신품과 같은 상태를 보여줬다.
김씨는 “30만km 넘게 타도 주행가능거리를 비롯한 모든 성능이 새 차처럼 그대로”라며 “완속 위주의 충전 습관이 비결이지만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의 차량인 만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여러 기능이 유기적으로 작용해 차량 자체적으로도 관리가 잘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김씨는 ‘전기차는 장거리 운행에 불리할 것’이라는 편견을 일축했다. 그는 “대구에서 인천국제공항을 오가는 등의 장거리 영업 중에는 급속 충전도 이용한다”며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에 충전기 대수가 크게 늘고 충전 출력도 높아져 장거리 운행 부담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2022년 4월 아이오닉 5를 출고해 약 20만km를 달려온 택시기사 임채민(68) 씨도 “전기차는 낮은 연료비뿐만 아니라 내연기관차에 비해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도 적어 유지비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정비소에 방문할 일이 거의 없어 시간도 아껴준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