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작업이 열흘째 이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5일 오전 6시 기준 전체 647개 시스템 중 132개가 복구돼 복구율이 20.4%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복구된 시스템 가운데 국민 이용이 많은 1등급 시스템은 22개다. 이 중 행정안전부의 업무용 전자우편 시스템 ‘온메일’과 공무원 신분확인을 위한 ‘모바일 공무원증’이 부분적으로 정상화되면서 일부 공공서비스가 재개됐다.
앞서 지난달 26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정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가 일시에 마비됐다. 이에 정부는 즉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복구 작업에 나섰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중대본부장)은 지난 3일 “추석 연휴 7일을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겠다”며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끌어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이번 연휴 기간 동안 주요 부처와 협업체계를 유지하며 24시간 복구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진행 중”이라며 “안정성과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단계적 복구를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자원관리원은 정부 각 부처의 핵심 데이터와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국가 전산 허브 역할을 맡고 있어, 이번 사고는 공공 디지털 인프라의 보안성과 리스크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 계기가 될 전망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