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일상의 일정, 할 일과 각종 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데일리’ 기능 출시
![]() |
▲SKT 홍보모델이 에이닷의 새로운 기능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사진=SKT 제공 |
[소셜밸류=김태형 기자] SK텔레콤은 AI 서비스 ‘에이닷’이 대규모 서비스 개편을 통해 일상의 편의를 돕는 AI 개인비서로 거듭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LLM (거대언어모델 :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과 ▲고객의 일상 관리 기능 강화 ▲뮤직/미디어/증권/영화예매 등 다양한 에이전트를 통한 전문 서비스 이용 경험 강화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구조를 대폭 개선하고 LLM 기반 에이전트와의 유연한 대화가 가능한 새로운 UX로 전면 개편했다.
에이닷은 할일/일정/기록 등 개인의 일상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일리' 기능을 선보인다. 이를 통해 기존에 에이닷 내에 흩어져 있던 캘린더, 할 일, 루틴, 수면 등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고객이 일상의 모든 할 일과 기록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비서에게 이야기하듯 에이닷에 알려주면 약속, 미팅, 할 일 등을 저장·관리할 수 있다. 일정·약속 수행 시 고려해야 할 날씨·교통 등 다양한 상황과 고객의 취향·선호도를 고려해 맞춤형 제안을 하는 등 일상의 ‘AI 비서’ 경험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글로벌 첨단 LLM을 한 데 모은 멀티 LLM 에이전트를 통해 Perplexity, ChatGPT, Claude, A.X 등 다양한 대화형AI 모델을 경험할 수 있다. (Perplexity, A.X, ChatGPT 3.5 turbo, ChatGPT 4o, Claude haiku, Claude opus, Claude sonnet)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엔진을 선택해 답변을 받을 수 있고, 같은 질문에 대해 쉽게 다른 모델로부터 답을 받아 비교할 수 있다.
시중에서 이용 가능한 거대언어모델(LLM) 각각의 이용 목적이나 장점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중복해서 결제를 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오가며 사용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는데 에이닷 안에서 최신 LLM 7종의 답변을 한번에 출력하고 비교해가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용료 또한 당분간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에이닷을 통해 처음 선보이는 Perplexity 서비스의 경우 한국어 특화 AI 검색을 양사가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양사의 기술력을 결합한 최적의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뮤직, 미디어, 증권, T멤버십 영화예매 등 각 영역별로 특화된 전문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해 더욱 풍부하고 완성도 높은 AI 경험을 선사한다.
뮤직 및 미디어 에이전트의 경우 해당 영역에서 깊이 있는 양방향 대화를 제공하고 음악 및 영상 콘텐츠 등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다. 증권 에이전트는 시세 정보 뿐 아니라 각 기업 별 실적/공시 정보/주식 청약 일정 등 주요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공한다.
T멤버십 영화예매는 영화관 직원과 대화하듯 대화로 쉽게 예매를 할 수 있고 이력과 취향을 반영한 영화/극장을 추천해 예매 과정을 단축했다. 영화 예매 시간이 다가오면 놓치지 않게 에이닷이 다시 알려주는 등 완결된 AI비서 경험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에이닷 App 신규 사용자 중 T멤버십 영화예매를 통해 CGV 영화 예매를 진행한 고객에게 7000원 상당의 팝콘 콤보를 선착순으로 제공하는 마케팅도 진행한다.
김용훈 SK텔레콤 AI서비스사업부장은 "이번 에이닷 개편을 통해 고객들은 진짜 개인 비서와 소통하듯 더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AI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