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공동대표와 비대위 간담회 추진결과 보고 기자회견'을 열고 MBK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과 상거래채권 즉시 반환 등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자료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검찰이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하면서 국내 사모펀드 시장이 긴장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는 28일 서울 강남구 MBK파트너스 본사와 홈플러스 본사에 수사관을 보내 주요 금융 자료와 내부 문건 등을 확보했다.
사건의 핵심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을 둘러싼 사전 인지 여부다. 홈플러스는 올해 2월 말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강등 통보를 받았지만, 이후에도 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단기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을 모집했다.
이후 3월 초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을 신청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금융감독원은 이 과정에서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이를 숨겼을 가능성을 포착, 사기적 부정거래 및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사건을 검찰에 이첩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정식 수사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검찰은 향후 홈플러스 경영진 및 MBK파트너스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단기채 발행 과정에서 회계사, 법률자문단, 증권사 등 외부 전문가들이 관여했는지 여부도 수사 대상으로 삼을 전망이다.
'사모펀드 지배구조', MBK 신뢰도에 치명타
이번 사건은 단순한 신용등급 하락 문제를 넘어, 사모펀드 운용사와 피투자회사의 지배구조 리스크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국내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직접 연루됐다는 점은 시장에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다. MBK는 그간 다수의 대형 인수합병(M&A)을 주도하며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해 기관투자가, 연기금 등 주요 투자자(LP)들 사이에서는 MBK의 리스크 관리 능력과 윤리성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되고 있다. 향후 신규 펀드 조성이나 투자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내 사모펀드 시장 전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모펀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및 투자자 보호조치 미흡 사례에 대한 징벌적 제재 도입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규제 강화, 사모펀드 '신뢰 재건' 과제
앞으로 사모펀드 업계는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한 대대적인 체질 개선을 요구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사모펀드의 정보공개 의무 강화, 내부통제 시스템 정비, 주요 투자 판단 과정의 기록 의무화 등을 포함하는 종합대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관투자가들은 향후 사모펀드에 투자할 때 ▲신용리스크 관리 체계 ▲투명한 정보공개 수준 ▲피투자회사(포트폴리오 회사) 관리능력 등을 보다 엄격히 평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조사 사례는?
미국 시장을 보면, SEC(증권거래위원회)는 사모펀드 운용사에 대해 '중요 이벤트 공시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부정거래 적발 시 대규모 벌금 부과 및 운용 라이선스 제한 조치를 적극 시행하고 있다. 한국도 비슷한 방향으로 제도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홈플러스–MBK 사태는 '한국형 사모펀드 규제' 강화 흐름을 더욱 가속화시킬 전망이다. 단순히 이번 사건의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모펀드 산업 전체가 신뢰를 재건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