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왼쪽)-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 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사흘째인 6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전화 통화를 갖고 정상외교 재개에 시동을 걸었다. 이 통화는 이 대통령의 첫 외국 정상과의 통화이자, 사실상 6개월간 중단됐던 한미 정상외교의 복원 신호탄이기도 하다.
두 정상은 약 20분간의 통화에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 대면 회담을 갖기로 의견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초청했고, G7(15-17일)이나 NATO 정상회의(24-25일) 등 다자무대에서 첫 회동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통화는 단순한 인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양국 간 최대 현안인 관세 협상이 직접 거론되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 속에 한미 양국 모두 만족할 해법을 모색하자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협상 시한이 임박했다는 점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 관세 유예조치 종료일은 내달 9일로, 불과 한 달밖에 남지 않았다. 여기에 방위비 분담금, LNG 가스관 사업 참여 요구,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 등 첨예한 쟁점들이 줄줄이 얽혀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통화를 "친근한 분위기 속 대화"라고 설명했다. 두 정상은 공통의 피습 경험을 공유하고, 골프 라운딩 제안을 주고받는 등 개인적 유대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향후 협상은 녹록지 않다. 이 대통령은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트럼프는 ‘자국 이익 우선주의’를 천명하고 있는 만큼, 각자의 이해를 조율해야 하는 고차방정식이 예상된다.
특히 관세, 방위비, 에너지 협력 등은 모두 경제적 이해가 직결된 사안으로, 양측의 타협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국익과 실용 중심의 외교를 통해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일 협력을 다지고, 주변국과의 관계도 유연하게 풀겠다"고 강조했다. 미국과의 초기 관계 설정이 실용외교의 첫 시험대가 된 셈이다.
한편 이번 한미 정상 통화 시점은 과거 대통령들과 비교할 때 윤석열·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유사하거나 다소 늦은 수준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당일 트럼프 대통령과 30분간 통화했고, 윤 전 대통령은 당선 당일 조 바이든 대통령과 20분 통화했다.
대통령실은 통화 시점과 관련해 "시차와 양측 일정 조율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