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상장 또 철회 ”시장 상황 개선시 재추진”

금융·증권 / 황동현 기자 / 2025-01-08 10:10:36
대내외 불확실성과 증시 부진 영향
“고객 및 여수신 성장, 역대 최대 순이익 등 성장성∙수익성 제대로 평가받을 것”
안정적인 BIS비율 등 상장 연기 따른 우려 없어…상생금융, 혁신금융 실천 지속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케이뱅크가 상장을 또 철회했다. 대내외 불확실성과 증시 부진에 현재 추진 중인 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케이뱅크가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기업공개(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케이뱅크 본사 전경/사진=케이뱅크 제공

케이뱅크는 지난해 6월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고 IPO를 추진해 왔다. 대규모 자본 확충을 통해 대출의 유형과 규모를 확대하고 ▲리테일 ▲SME/SOHO ▲플랫폼 등 세 가지 부문에 투자함으로써 성장 속도를 끌어올리고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주식시장 부진으로 올바른 기업가치를 평가받기 어렵다고 판단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기로 했다.

케이뱅크는 외형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이고, 주식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조속히 IPO에 다시 나설 계획이다. 신년사에서 밝힌 대로 개인과 기업 시장에 주력해 고객과 자산 성장을 이어감으로써 혁신금융과 상생금융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12월 말 고객은 1274만명으로 지난 한 해만 320만여 명이 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재무 실적 역시 지난해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 1224억원을 기록, 연간 최대 실적을 거뒀던 2022년 한 해 실적(836억원)을 넘어서며 외형 성장과 수익 개선을 모두 이뤄냈다.

지난해 3분기 말 케이뱅크의 BIS총자본비율은 14.42%로 규제비율(24년 말 기준 11.5%)을 크게 웃도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안전자산 비중 확대, 당기순이익 성장으로 BIS총자본비율이 23년 말(13.18%) 이후 세 분기 연속 상승하며 개선세를 보여 상장 연기에 따른 영업 차질은 없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증시 부진으로 올바른 기업가치를 평가받기 어렵게 됨에 따라 상장 연기를 결정했다”라며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하며 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조속히 IPO 재추진에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케이뱅크, 한국거래소 금시장 거래 ‘금 투자 서비스’ 선봬 "은행권 최초"2024.11.15
    케이뱅크, 무신사와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프로모션 진행2024.11.26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깜자 에디션’ 한정판 3종 출시2024.12.04
    케이뱅크, 소비자 패널 ‘케리포터’ 1기 어워드 실시2024.12.06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