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장교동 사옥/사진=연합뉴스 자료/이덕형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한화 제1우선주 상장폐지를 둘러싼 논란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상장폐지 계획이 공개된 이후에도 주식을 적극 매입한 일부 소액주주들이, 이제 와서 "공시를 몰랐다", "보상을 해달라"며 여론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화는 2024년 7월 5일, 한국거래소 공시 시스템을 통해 제1우선주의 상장폐지 계획과 장외매수·소각 방침을 명확히 발표했다. 당시 공시는 명백히 ‘이사회 결의’와 함께, 매수 가격, 대상 수량, 향후 절차를 상세히 담고 있었으며, 이후 자율공시를 통해 설명자료와 매수안내서까지 추가 공개됐다.
그러나 일부 주주들은 이 같은 공개 절차를 “몰랐다”고 주장하며, 뒤늦게 반발에 나섰다. 이들은 BPS(주당순자산가치) 기준으로 11만원 이상 보상을 해달라거나, 보통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주장이 기업의 정당한 경영 행위를 악용한 이중적 전략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공시 이후 되레 매수한 주주들…“투자책임 회피 안 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실제로 상장폐지 공시 이후에도 제1우선주를 적극 매수한 주주들이 존재한다. 공시일 이후 주가가 일시 하락하자, ‘희소성 프리미엄’을 기대한 투기적 매수세가 유입됐다는 분석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공시 내용을 명확히 인지한 상태에서 매수에 나선 이들이, 이후에는 마치 피해자인 듯 보상 요구를 하는 것은 책임 있는 투자자 행위로 보기 어렵다”며 “기업의 공개정보를 무시하고 거래에 나선 뒤, 불리한 결과가 나오자 기업을 압박하는 행위는 자본시장 질서를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공정공시·자율공시 이중 공개…“몰랐다는 말, 납득 어려워”
한화는 이번 상장폐지와 장외매수와 관련해 공시 외에도 수차례에 걸쳐 자율적으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해왔다. 매수 가격은 직전일 종가 대비 11% 이상, 3개월 평균가 대비 24% 이상 할증된 40,500원으로 책정됐고, 이는 당시 보통주 시세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었다.
회사는 또 "정리매매 개시 전 상장폐지 가능성, 소각 후 잔여 수량, 이후의 유동성 대책까지 종합적으로 공지했다"며, "상장폐지가 갑작스러운 결정이 아닌 충분한 절차와 설명을 거친 사안"이라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 “공시는 무시하고, 결과만 문제 삼아선 안 돼”
자본시장은 ‘정보의 평등’을 전제로 한다. 정식 공시를 통해 정보를 공개하면, 그 이후 투자 판단은 투자자 각자의 책임이다. 그런데 일부 주주들은 정보 공개 이후의 투자 책임을 회피한 채, 결과에 따라 ‘보상’을 요구하며 회사 측을 압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만약 이러한 전례가 용인된다면, 공시 제도 자체가 무력화되고 기업은 정당한 경영 판단을 내릴 수 없게 된다"고 경고한다. 기업의 경영 전략은 단기 주가가 아닌, 중장기 지속 가능성을 기준으로 결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 기업 경영의 정당성까지 흔드는 ‘감정적 주주권’
이번 사태는 단순한 주가 반발이 아니라, 자칫하면 기업의 정당한 전략과 경영 판단 자체를 감정적으로 흔드는 선례가 될 수 있다. 상법 개정 등을 통해 주주 권한이 강화되는 시대에, 그 책임 또한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 역시 무분별한 정치 개입이 아니라, 자본시장 질서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기업이 공시와 절차를 준수하며 이행한 정당한 행위조차 여론 재판의 대상이 되는 상황이라면, 이는 오히려 소액주주의 신뢰를 갉아먹는 결과로 돌아올 것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