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수준 안심하긴 일러..소비자물가 상승률 7월 2.6%로 반등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한국은행이 올 들어 여섯번째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역대 최장 동결기록을 갈아 치웠다. 뛰는 집값과 가계대출, 여전히 불안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리동결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은 22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3.5%의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3회 연속 동결이다.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한은은 코로나19가 확산 되자 기준금리를 0.50%까지 낮춘 이후 2021년 8월 금리 인상에 돌입해 1년 반 동안 12차례에 걸쳐 총합 3%p(포인트)에 달하는 금리를 올렸다. 하지만 지난해초부터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다수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뛰는 집값과 가계대출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서둘러 내리기보다 현 수준에서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본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서울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6월보다 0.76% 올랐다. 2019년 12월(0.86%) 이후 4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7월 이후 은행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려왔지만, 가계대출 증가세도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통화정책의 제1 관리 목표인 물가도 아직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월 2.4%에서 7월 2.6%로 반등한 데다 향후 중동사태 등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가능성, 폭염 속 작황 부진 등의 불안 요소가 여전히 많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금리 인하 물가 조건이 어느 정도 충족됐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대로 9월 정책금리를 낮추면, 한은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에 따른 가계대출·부동산 안정 여부 등을 점검한 뒤 10월이나 11월 비로소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한다.
이달 기준금리가 동결됨에 따라 이제 10월, 11월 2번 남은 금통위 회의 때 금리 인하가 단행될지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도 제시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성장률이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기존 전망치를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5월 23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2.5%, 물가상승률 2.6%를 전망한 바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