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CI,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향 피치 첫 출하 기념식/사진=OCI 제공/최성호기자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OCI가 고부가가치 반도체 핵심 소재인 ‘피치(Pitch)’를 앞세워 첨단소재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기존 액상 피치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반도체, 방위산업, 원자력 등 고부가 산업군으로 진출하며 장기 성장 모멘텀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OCI는 최근 국내 유일의 등방성 인조흑연 제조사인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에 피치 초도 물량을 납품했다고 21일 밝혔다. 피치는 등방성 인조흑연(Isotropic Graphite)의 핵심 원료로, 고온에서도 물성이 안정적이며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반도체, 항공우주, 원자력 산업 등에서 필수적인 기능성 소재다.
등방성 인조흑연은 반도체 웨이퍼 생산 시 잉곳(ingot)을 형성하는 용기, 증착 공정의 가열 부품 등으로 활용되며, 고순도 특성이 요구되는 핵심 부품에 사용된다. 이 외에도 미사일, 전투기 등 고내열 소재가 필요한 방위산업 분야, 원자력 발전소 중성자 감속재 등에도 쓰인다.
OCI는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연간 52만t 규모의 액상 피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번 납품을 계기로 반도체용 피치 사업을 고부가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특히 기존의 화학 중심에서 소재 중심으로의 포지셔닝 전환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진전으로 평가된다.
김유신 OCI 부회장은 “이비덴그라파이트 공급을 시작으로 고부가가치 피치 시장 내 사업 영역을 확대할 것”이라며 “반도체뿐 아니라 방위산업, 소형 원자로 등 미래산업 전반에 걸친 공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등방성 인조흑연 시장은 약 30억달러(약 4조1,700억원) 규모로, 향후 반도체 산업 회복과 글로벌 방위산업 수요 증가, 원전 재부각 흐름과 함께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산업계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일본이 우위를 점해온 등방성 흑연 원료 시장에 OCI가 피치 공급자로 진입했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며 “국산화 가능성과 동시에 향후 글로벌 소재 자립 전략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OCI는 최근 ▲폴리실리콘 ▲수처리 소재 ▲배터리 전해질 소재 ▲카본소재 등 다양한 고부가 소재군으로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으며, ‘탄소중립과 소재 혁신’이라는 이중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ESG 기반 전략을 추진 중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