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BGF리테일 제공.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BGF리테일(대표 이건준)의 CU는 몽골 300번째 점포를 열며 국내 유통업계 처음 올 상반기 내 글로벌 점포 500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진출한 국내 유통 기업 중 단일 국가에서 300호점을 개점한 것은 CU가 처음이다. 말레이시아 130여 점을 더해 현재 글로벌 약 430점을 출점한 상태다.
이달 7일 열린 몽골 CU 300호점 오픈식엔 몽골 파트너사 프리미엄 그룹의 간호약 아딜비시 회장, 간볼드 친저릭 센트럴 익스프레스(CE) 대표와 BGF리테일 관계자가 참여해 현지 점포 현황을 살피고 향후 사업 전략을 공유했다.
CU는 300호점 개점을 기념해 GET 커피와 컵 케이크를 증정하는 행사를 펼쳤다. 3월 한달 전점에서 즉석 조리와 간편식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품을 추첨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CU가 이번에 연 몽골 300호점은 수도인 울란바토르 남부 중심지 고급 아파트 내 'CU게를룩비스타점'이다. 한국 문화에 익숙한 젊은 고객이 많이 거주하는 입지 특성에 맞춰 한국 편의점 특유의 다양한 디저트와 즉석 조리, 자체 브랜드(PB) 등 차별화 상품을 타 점포 대비 40% 가량 확대 운영하고 있다.
CU는 최근 편의점 업계 처음 몽골 제2 도시 '다르항'에도 3개 점포를 내면서 울란바토르뿐 아니라 몽골 전 지역으로 출점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개점 속도를 보면 CU가 몽골에 첫 진출한 2018년부터 1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 약 26개월, 200호점까지 약 18개월이 걸렸지만 300호점 개점까지는 약 10개월을 소요, 개점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다.
작년(2022년) 한 해엔 전년 대비 2배나 많은 점포를 열면서 코로나19 속에서도 외려 사업 확장이 빨라지고 있다. 현재 CU는 몽골 편의점 시장 점유율 약 70%로 독보적인 업계 1위다.
이런 몽골 CU의 높은 성장세엔 안정적인 편의점 사업 운영을 위한 BGF리테일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있다.
BGF리테일은 작년 10월 CE 친저릭 대표 포함한 50여명의 몽골 CE 직원을 한국에 초청해 사업 운영 노하우를 전수했다. 상품·영업·마케팅 등 사업 운영 기본 실무 교육을 받고 진천 중앙 물류 센터, 센트럴 키친 등을 방문해 물류 시스템과 제조 현장을 견학하기도 했다.
이를 기반으로 몽골 CU는 울란바토르 근교 콘코르 지방에 편의점 핵심 상품인 간편식 제조 전반을 관장하는 푸드 센터도 두고 있다. 해당 푸드 센터는 BGF리테일 생산, 품질 관리 전문가가 파견돼 상품 품질과 공정별 효율성을 점검하면서 국내와 동일한 수준의 고품질 간편식 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 CU는 그동안 쌓은 IT 노하우를 집약, 개발한 'BGF 글로벌 IT 시스템'을 작년 8월 몽골 CU 전점에 도입했다. 이를 통해 몽골 현지 CU 점포와 물류 센터, 본부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유기적으로 협업할 수 있게 돼 사업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외 CU는 업계 처음 물류 센터 내 소분 상품 분류 피킹 시스템을 도입, 기존 대비 20~30% 빠른 속도로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이처럼 상품 기획, 제조부터 물류 운영까지 BGF 전사적인 노력 속에 작년 몽골 CU 점포들 매출은 전년 대비 48.0% 증가했다. 떡볶이·튀김·호떡·즉석 라면 등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는 즉석 조리는 117.4%나 매출이 늘었다. GET 커피도 120.2%로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명실상부 몽골 CU의 먹거리로 자리잡았다.
소불고기 김밥·제육 김밥·참치 마요 삼각 김밥 등 인기 속 작년 몽골 CU 간편식 매출은 전년 대비 24.2% 증가했다.
장영철 BGF리테일 상품·해외사업부문장은 "몽골 300호점 개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CU만의 차별화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CU는 한국 편의점 문화를 전파하면서 사회적 가치까지 더해 대한민국 1등 편의점 프랜차이즈로서 편의점 한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