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0.3% 반도체 0.2% 하락 후 선물시장 엔비디아 덕에 급등세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4-02-22 09:16:05
엔비디아,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조정 주당순이익과 매출을 발표
이 같은 소식에 주가는 마감 후 거래에서 8% 이상 올라
연준이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70.8%에 달해
▲미국 뉴욕증시는 21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으나 선물시장은 엔비디아의 호실적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오후에 발표된 이후 투자심리가 호전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장 초반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한 것과는 대비되는 양상을 보였다. 다우와 S&P500 지수가 상승 반전했고 나스닥과 반도체 지수도 낙폭을 크게 줄이며 장을 마쳤다.

 

정규장 마감 후 개설된 선물시장에서는 나스닥 100 선물이 1% 이상 오르고 다우 선물도 0.05% 오르고 있다.

 

21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2시 5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7포인트(0.33%) 하락한 38,436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9포인트(0.39%) 떨어진 4,955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9포인트(0.96%) 밀린 15,481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60포인트(1.30%) 하락한 4,396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2.8% 하락한 것을 비롯해 AMD 0.8%, 마이크로소프트 0.1%, 메타 0.6%, 코인베이스 6.2%, 넷플릭스가 0.3%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테슬라 0.5%, 아마존닷컴 0.9%, 애플 0.4%, ARM 1.3%, 구글의 알파벳이 1.0% 상승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도 일제히 상승세를 유지했다.  현지시간 오후 5시 05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4%포인트(4.4bp) 상승한 4.319%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56%포인트(5.6bp) 상승한 4.668%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개장 초부터 하락세를 보였으나 장 막판 40여 분 전부터 빠르게 반등하기 시작해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상승 전환에 성공했고, 나스닥지수는 낙폭을 크게 줄였다.

 

나스닥지수는 이날까지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연준은 이날 공개한 1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너무 빠른 금리인하를 경계하고 신중히 판단할 것을 시사했다.

 

연준은 "대다수 참석자들은 너무 빨리 정책 기조를 완화하는 데 대한 위험과 인플레이션이 지속해서 2%로 향해 하락하는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입수되는 지표를 신중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고 전했다.

 

참석자들은 또한 "정책 금리가 이번 긴축 주기에서 정점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라면서도 "참석자들이 대체로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지속해서 이동한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 전까지 금리 목표치를 낮추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고 의사록은 전했다.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너무 빨라서도 안 되며, 신중해야 하며, 더 큰 확신이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언급 등은 금리 인하가 임박하지 않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회의에서 3월 회의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금리를 인하할 수준에 도달할 것 같지 않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에 찬물을 끼얹은 바 있다.

 

이번 의사록은 이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해준 데 불과했다. 이미 시장은 최근의 인플레이션 수치에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시기를 6월로 미룬 바 있다.

 

연준 위원들은 3월 회의에서 대차대조표 축소와 관련한 심층 논의에 들어갈 것을 시사했다. 일부 위원들은 축소 속도를 늦추는 것이 준비금 전환을 원활하게 해주거나 더 오래 축소를 지속할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했고, 일부는 금리인하를 시작한 이후에도 대차대조표 축소를 한동안 지속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미셸 보먼 연준 이사도 연준의 신중한 자세를 강조했다. 그는 경제 상황을 살피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보고 싶다며 "경제가 어디로 향하는지에 대한 더 많은 자신감을 얻을 시간이 충분하다"면서 어느 시점에 금리 인하 과정을 시작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지표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확실히 지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한 인터뷰에서 "최근 데이터가 확실히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며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인 물가 압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장 마감 후 나오는 엔비디아의 실적도 주시했다. 인공지능(AI) 열풍을 주도해온 주인공인 데다 지수를 끌어올린 기술주 7대 종목인 '매그니피센트7'에 포함되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컸다.

 

엔비디아는 전날 4% 이상 하락한 데 이어 이날도 2% 이상 하락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장 마감 후에 예상치를 웃도는 조정 주당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다. 매출은 1년 전보다 265% 증가했고, 순이익은 700% 이상 증가했다. 이 같은 소식에 주가는 마감 후 거래에서 8% 이상 올랐다.

 

이날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 결과가 부진했다는 소식에 장기물 금리가 오름세를 보였다. 10년물 금리는 4.32%로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30년물 금리도 4.49%로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태양광업체 솔라에지 테크놀로지의 주가는 혼재된 실적에 매출 가이던스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밑돌면서 12% 이상 하락했다. 온라인 헬스케어 업체 텔라독의 주가는 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밑돈 데다 현 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예상치를 밑돌면서 23% 이상 하락했다.

 

사이버 보안업체 팰로 알토 네트웍스의 주가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전망에 28% 이상 하락했다. 다이아몬드백 에너지의 주가는 매출과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1% 가량 올랐다. 아마존의 주가는 회사가 26일부터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를 대체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에 편입될 것이라는 소식에 1%가량 올랐다. 월그린스의 주가는 2% 이상 하락했다.

 

S&P500 지수 내 기술주를 제외한 10개 업종이 모두 올랐다. 에너지와 유틸리티 관련주가 1% 이상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금리인하에 좀 더 시간을 둘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최근의 기술주 조정은 좀 더 광범위한 랠리로 가기 위한 정상적인 조정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커먼웰스 파이낸셜 네트워크의 롭 스완크는 보고서에서 "단기 인플레 기대가 연준의 일을 힘들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연준에게는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지켜볼 몇 번의 회의가 더 있다"며 "시장은 여전히 6월을 첫 금리 인하 시기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츠의 제이 우즈 글로벌 전략가는 "대형 기술주의 최근 하락은 수주간의 랠리 이후 투자자들이 한숨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신호이자 대형기술주 7종목이 이끈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주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강한 강세장에서 나오는 정상적인 후퇴와 조정이라며 주도주가 약간 밀려나고, 다른 소형종목들이 이를 따라잡기 시작했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5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27.1%에 달했다.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70.8%에 달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