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압박 '알라스카 LNG 투자' 기업들 진퇴양난 위기 내몰려

경제일반 / 최성호 기자 / 2025-03-21 09:25:43
24∼25 방한 기간 韓 에너지기업 등에 사업 설명하고 투자 요청할 듯
대형 신규시장 개척 '기대', 혹독한 환경·막대한 투자비 '우려' 공존
▲조현동 주미대사(우)와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최성호 기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직접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내주 방한하는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가 국내 에너지 기업들과 개별 면담을 갖는다. 

 

방문 목적은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협력 방안이다. 문제는 미국의 관세 압박과 맞물려 알라스카 대규모 투자에 따른 의견 조율을 해줄 콘트롤타워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압박에 어쩔 수 없이 수조원의 자금을 투자하고 대신 한국기업에게 유리한 관세 정책을 풀어내야 하지만 지금 정부는 대통령 부재 등 어려운 정치적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관계 당국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던리비 주지사는 오는 24∼25일 한국을 방문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통상·에너지 당국자들과 만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이 참여하는 방안 등을 협의한다.

던리비 주지사는 방한 기간 한국 기업들과의 개별 면담 일정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접촉을 타진 중인 기업은 포스코인터내셔널과 SK이노베이션 E&S, GS에너지, 세아제강 등이다.

던리비 주지사는 이들 기업의 경영진 등과 만나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에 대해 설명하며 투자를 요청하고 관련 협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약 1천300㎞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남부 해안으로 운송해 액화한 뒤 수출하기 위한 대형 사업으로 총투자비는 440억달러(약 64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알래스카 푸르도베이의 유전 시설/사진=연합뉴스 제공

 

◇ 기업들 수조원 투자 부담스러워


한국 기업들은 아직 사업 참여에 있어 신중한 입장이지만, 신규 시장 개척 등 효과를 기대하며 기초 사업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에너지 기업을 비롯해 철강, 조선, 건설 등 기업들이 LNG 플랜트 건설과 기자재 공급에 참여하면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면담이 추진 중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경우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미얀마에서 대규모 가스전 개발 사업을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아울러 LNG 터미널 운영, LNG 트레이딩 등 에너지 사업 관련 밸류체인(가치사슬)을 탄탄히 구축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E&S은 이미 미국 오클라호마주에 우드포드 가스전 지분 49.9%를 보유하고, 미국에서 10년 넘게 LNG 사업을 이어왔다.

이 회사 역시 '천연가스 개발 및 생산(업스트림)-액화 및 운송(미드스트림)-수요처 공급 및 사용(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LNG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이 거론돼왔다.

GS에너지도 통합적인 LNG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해외시장에서 사업모델을 확장하기 위해 기회를 보고 있다.

강관 전문 기업인 세아제강의 경우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필요한 강관의 사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어 사업 참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 기업 투자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 

이번 프로젝트는 막대한 투자 부담, 혹독한 기후 환경 등 리스크 요인도 있다. 여기에 공사기간이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한다. 그런 만큼, 국내 업계는 구체적 사업 계획을 파악한 뒤 면밀한 검토를 거쳐 사업 참여를 신중히 검토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내주 면담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사업 계획이 어느 수준으로 구체적으로 공개될지와 이에 따른 사업성 검토 결과, 우리 정부의 참여 요구 정도 등이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콘트롤 타워의 부재가 문제 

 

트럼프 대통려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내 정치, 경제적 상황이 만만치 않다. 미국 현지에 대규모 투자에 따른 손익계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기업 혼자 감당하기에는 힘들어 정부와 금융권의 지원과 혜택도 필요한 상황이다. 장기 투자에 따른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위해서 정부가 나서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