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피로 쓴 자유의 역사, 45년 후에도 살아있는 항쟁의 정신

사회 / 최연돈 기자 / 2025-05-18 08:46:17
군부 독재에 맞선 시민의 항거…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열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광역시에서 벌어진 5·18 민주화운동은 군사 독재에 맞서 시민들이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일어선 역사적 사건으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1987년 6월 항쟁 등 민주화 흐름에 결정적인 기폭제가 됐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면서 유신체제가 붕괴하자 국민들은 민주화의 새 시대를 기대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12일,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며 민주화 기대는 짓밟혔다.

 

1980년 5월, 신군부는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확대하고 국회를 강제로 해산하면서 사실상 독재 체제를 공고히 했다. 이에 반발한 대학생들과 시민들은 계엄 해제와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다.

 

1980년 5월 18일, 전남대학교에서 시작된 시위에 대해 정부는 계엄군을 투입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 특수부대가 동원되어 학생과 시민을 무차별 폭행하고 연행하면서, 시민들의 분노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광주 시민들은 스스로 시민군을 조직해 계엄군과 맞섰고, 5월 21일에는 계엄군이 집단 발포해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결국,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은 무력으로 도심을 장악하며 시민 저항을 진압했다.

 

당시 정부는 5·18을 ‘폭도에 의한 폭동’으로 규정하고 사실을 은폐·왜곡했지만, 수많은 시민과 언론, 학계, 정치권의 노력으로 진상 규명과 역사적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1997년, 5월 18일은 국가기념일인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2000년 제정된 ‘5·18 민주화운동 특별법’을 통해 관련자들의 명예 회복과 진상조사가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공식 집계에 따르면 당시 사망자는 200여 명, 부상자는 수천 명에 달하지만, 실제 희생자는 이보다 많을 것이라는 주장이 지속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