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CPI 상승 낮아지자 미친듯이 상승...나스닥 7%-반도체주 10% 폭등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11-11 06:55:47
다우 지수는 2020년 5월(3.85%) 이후 최대 상승률
S&P 500 지수는 2020년 4월(7.0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 기록
나스닥 지수의 상승률은 2020년 3월(8.12%) 이후 가장 커

▲ 미국 뉴욕증시가 10일(현지시간) CPI 지수 상승률이 완화되자 미친듯이 상승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고 이에 국채금리가 폭락하면서 나스닥과 S&P가 5~7% 폭등하며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2020년 5월(3.85%)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S&P 500 지수는 2020년 4월(7.0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의 상승률은 2020년 3월(8.12%) 이후 가장 컸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01.43포인트(3.70%) 급등한 33,715.37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07.80포인트(5.54%) 폭등한 3,956.37을 나타내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60.97포인트(7.35%) 폭등한 11,114.15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47.69포인트(10.21%) 폭등한 2,672.5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7.3% 급등한 것을 비롯해 애플이 8.9%, 아마존닷컴이 12.1%, 엔비디아가 14.3%, 메타가 10.2%, 마이크로소프트가 8.2%, AMD가 14.2%, 구글의 알파벳이 7.5%, 넷플릭스가 7.9% 폭등하며 장을 마쳤다.

 

이날 현지시간 오후 4시 49분 현재 미국 국채금리는 오전에 이어 계속 폭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10년물이 전날보다 0.33%포인트(33bp) 폭락한 3.812%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30%포인트(30bp) 폭락한 4.328%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 증시 투자자들은 이날 발표된 미국의 10월 CPI에 환호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7% 올랐다. 이는 지난 9월 기록한 8.2%에서 7%대로 떨어진 것으로 물가상승률이 7%대로 떨어진 것은 2월(7.9%) 이후 처음이다. 상승률은 올해 1월 기록한 7.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7.9% 상승도 밑돌았다.

 

10월 근원 CPI 상승률도 전년 대비 6.3% 상승해 시장이 예상한 6.5%와 전달 상승률 6.6%를 밑돌았다. 9월 수치는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다.

 

보고서 발표로 연준이 다음 회의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은 강화됐다. 미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2월에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을 80% 이상으로 예측해 CPI 보고서 발표 하루 전 56.8%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전날 43%대에서 이날 19%대로 크게 하락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연준의 긴축 속도 완화 기대에 4% 아래로 떨어졌다. 하루 금리 하락 폭은 2009년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10년물 금리는 10월 초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년물 국채금리도 지난 10월 28일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2% 이상 급락한 107.797 근방에서 거래됐다.

 

연준 당국자들은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해서는 일제히 환영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물가 둔화에 대해 "정말로 좋은 뉴스"라면서도 "충분히 제약적"이기 위해서는 위원들이 제시한 전망치(4.5%~4.75%)보다 "약간 더 긴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향후 몇 달 동안 우리의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0.50%포인트 인상도 상당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는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곧 적절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도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CPI가 둔화했다는 소식과 유동성 위기에 빠진 FTX가 자금 수혈을 모색하고 인출 중단을 해제했다는 소식 등에 암호화폐 가치는 급반등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8% 이상 올랐고, 이더리움 가격도 12% 급등했다.

 

실업 지표는 부진했다. 지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을 청구한 이들의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7천 명 증가한 22만5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2만 명을 웃돈 수준이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긴축 속도가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도 경기 침체 위험에 주가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냇웨스트의 존 브릭스는 "이날 시장 반응은 시장이 얼마나 CPI에 관심을 갖고 걱정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다다랐다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연준이 공격적으로 0.75%포인트 금리를 인상하기보다 속도를 늦추고 정점을 찍을 것이다"고 말했다.

 

파인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하니 레다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시장이 지난여름에 본 것처럼 두 번째 거짓 새벽, 즉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다다랐다는 가짜 희망을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긴축이 내년 미국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앞으로 몇 달간 주가가 추가 하락할 것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