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년 ‘최상목 대통령 권한 대행’ 대선주자의 변수로 작용?

경제일반 / 최성호 기자 / 2025-01-01 06:52:36
트럼프 2기 출범·대외신인도 우려·고환율 등 과제 산적
▲임시국무위원간담회를 마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최성호기자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취임 1년을 맞이하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 대행의 발길이 신년부터 예사롭지 않다. 최 권한대행의 경우 지난 31일 헌법재판관 2명을 전격 임명하면서 자신의 권한을 행사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 대행은 탄핵소추를 자초한 한덕수 전 권한대행과는 전혀 다른 행보를 보이면서 정치권의 시선을 한몸에 받고 있다. 헌재가 대통령 탄핵 소추를 인용하려면 재판관 6명의 동의가, 사건을 심리하려면 7명의 동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야당은 야당몫 헌법재판관 1명의 임명을 보류한 것을 놓고 강력히 반발했다. 하지만 2명의 헌법 재판관을 임명하자 최상목 부총리를 쳐 낼 수 없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야당과 여당의 묵인 아래 최 대행체제가 본궤도에 올라서면,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차기 대선까지 수개월간 최 권한대행 중심의 국정운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2일로 경제부총리 취임 1주년을 맞지만, 앞으로는 부총리보다는 권한대행으로서의 포괄적인 역할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최 권한대행으로서는 '1인 다(多)역'을 이어가야 한다는 뜻이다.

○ 제주항공 사태 실마리 잡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을 맡으면서, 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 직무대행·경제부총리에 이어 중대본부장까지 1인4역을 하는 모양새다.

기본적으로 권한대행 체제는 차기 리더십까지 임시운용을 책임지는 제한적인 성격이지만, 경제 여건이 엄중하다는 점에서 더 적극적인 권한행사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대내외 경제여건이 비교적 우호적이었던 8년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황교안 대행체제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비상계엄 후폭풍' 탓에 대외신인도가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이어가고 있는 데다가, 곧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초대형 파도'에도 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금융시장 안정이 급선무다. 원/달러 환율은 1,500원에 근접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내내 이어진 내수 부진도 시급한 현안으로 꼽힌다.

야당이 내수 활성화를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지속해 요구하고 있어 임기 내내 추경에 신중해온 최 권한대행으로서도 '묘수'가 필요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모습 이미지/사진=연합뉴스 제공

 

○ 사상 초유의 사태의 해법은?

최 권한대행 본인이나, 그를 보좌하는 기획재정부나 모두 경험해보지 않은 임무를 소화하면서 동시에 위기에 가까운 경제 상황에서 해법을 찾아내는 부담을 떠안았다.

최 권한대행은 경제부총리 취임 후 1년간 이끌어온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일명 'F4'(Finance 4) 회의에도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이후 해외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연일 내놓던 '안심 메시지'도 일시 중단된 상태다.

최 권한대행은 사상초유의 상황을 헤쳐가기 위해 소통과 안정된 국정운영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을사년(乙巳年) 신년사에서 "국회, 여·야 정치권을 비롯한 사회 각계 지도층과 깊이 있게 소통하면서 우리 앞에 놓인 수많은 난제에 현명한 해답을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한민국은 전에 없던 엄중한 상황에 놓여 있다"며 "정부는 국민 여러분이 안심하실 수 있도록 국방, 외교, 경제, 사회 모든 면에서 안정된 국정운영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