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금리 인상 종료에 베팅 나스닥-S&P-반도체 4일 연속 상승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11-18 07:11:39
'11월은 증시 강세'라는 계절적 공식이 들어맞고 있는 분위기
보스턴 연은 총재, "추가 긴축이 테이블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
전문가, "미국의 부채가 더 큰 문제를 촉발할 수 있는 변곡점"
▲미국 뉴욕증시는 17일(현지시간) 차익매물 공세 속에서 어렵사리 상승으로 마무리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오후 들어 국채금리가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3대 지수가 어렵사리 상승 반전에 성공하며 장을 마쳤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일 연속 상승랠리를 펼쳤다.

 

1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1포인트(0.01%) 상승한 34,947.28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78포인트(0.13%) 오른 4,514.02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81포인트(0.08%) 오른 14,125.48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4.55포인트(0.66%) 상승한 3,748.65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0.3%, 아마존닷컴 1.46%, AMD가 0.6%, 메타가 0.2% 상승한 반면 엔비디아가 0.3%, 마이크로소프트 1.6%, 애플이 0.01%, 구글의 알파벳이 1.1%, 넷플릭스가 0.2%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 들어 혼조세로 돌아섰다. 현지시간 오후 3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04%포인트(0.4bp) 하락한 4.441%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63%포인트(6.3bp) 오른 4.905%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이 신중한 스탠스를 유지하는 점진주의로 기울고 경제 연착륙 기대가 커지면서 지지력을 보였다는 평가다.

 

뉴욕증시는 3주 연속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한 주 동안 2% 이상 올랐고, 다우지수는 1.9%대 올랐다. 11월의 첫 3주 동안 증시가 계속해서 오름세를 기록하는 셈이다. '11월은 증시 강세'라는 계절적 공식이 들어맞고 있는 분위기다.

 

종가 기준으로 S&P500지수는 4거래일 연속 오르면서 지난 8월 30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스닥지수 역시 종가 기준으로 지난 8월 1일 이후 최고치였다. 이 역시 4거래일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이번주에 증시에 훈풍을 불어준 가장 큰 요인은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둔화된 점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기대는 시장에서 사실상 사라졌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금리 인하로 언제 방향을 전환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EMJ캐피털의 창립자이자 회장인 에릭 잭슨은 "가끔 어떤 것이 급격히 바뀌었을 때 이를 그때 바로 인식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나는 지난 화요일에 큰 진전이 있었다고 생각하고, 상황이 바뀌었다고 생각한다"며 "연준은 향후 6년가량은 겨울잠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점진주의가 필요하다는 연준 인사의 발언도 나왔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유럽은행총회에 참석해 "불확실성이 높고, 목표에 대한 위험이 더욱 균형을 보일 때 점진주의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이날 인터뷰에서 "추가 긴축이 테이블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높은 인플레이션을 극복했다고 선언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미국 경제가 어떻게 전개될지,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2%로 돌아갈 수 있을지 아직 확신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세계적인 헤지펀드 투자자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부채가 더 큰 문제를 촉발할 수 있는 변곡점에 근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지난 10월 신규주택 착공 실적이 전월 대비 1.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의 예상과 달리 미국의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은 깜짝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 여름 3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던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지난달부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래 주택 경기를 가늠하는 신규주택 착공 허가 건수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종목별로는 의류업체 갭의 주가가 30% 이상 올랐다. 갭은 시장의 예상치보다 좋은 실적을 보고했다. 반면 실적이 부진했던 전기차 충전 시설 회사 차지포인트의 주가는 35% 이상 급락했다.

 

종목 지수로 보면 에너지 관련 지수가 2%대 올랐고, 금융, 산업, 소재, 유틸리티 관련 지수가 상승했다. 이와 달리 헬스, 부동산, 기술, 통신 관련 지수는 약간 내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12월에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100.0%로 반영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