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9월 금리인하 가능성에 기술주 나스닥 신고가...다우도 상승랠리 지속?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7-10 06:12:48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연내 기준금리
인하를 놓고 의견들이 부딪치고 있음을 확인해줘
두 명은 7월 회의에서 금리인하 가능성 언급
▲미국 뉴욕증시는 9일(현지시간) 일부 연준 위원들이 금리인하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강세로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대형 기술주 반등으로 나스닥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며 기술주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장중 한때 증시 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는 등 상승을 주도하는 모습이다. 

 

9일(미국 동부시간) 오후 1시 13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포인트(0.19%) 상승한 44,325를 가리키고 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8포인트(0.30%) 오른 6,244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2포인트(0.60%) 상승한 20,540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22포인트(0.39%) 오른 5,663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2.0% 오른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8%, 아마존닷컴 1.4%, 메타 2.0%, 브로드컴 2.2%, 구글의 알파벳 1.8%, 넷플릭스 0.1%, 팔란티어 0.7%, AMD 0.6%, ARM이 0.6% 상승하고 있다. 다만 애플은 0.6%, 테슬라가 0.8% 하락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12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9%포인트(4.9bp) 내린 4.367%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31%포인트(3.1bp) 하락한 3.878%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13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포인트(0.19%) 상승한 44,325를 가리키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8포인트(0.30%) 오른 6,244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2포인트(0.60%) 상승한 20,540을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22포인트(0.39%) 오른 5,663을 기록하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의 주인공은 엔비디아였다. 장 초반 주가가 164.42달러까지 뛰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총 4조달러 미지의 영역을 개척했다. 전 세계 기업 중 최초다. 장 후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마감가 기준 시총은 4조달러를 하회했으나 곧 탈환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여전히 살아 있다.

 

엔비디아는 2024년 2월 시총 2조 달러를 처음 돌파한 데 이어, 같은 해 6월 3조 달러를 넘어선 후 약 1년 만에 4조 달러 고지에 올랐다. 이 같은 흐름에 기술주 전반으로 열기가 확산하면서 나스닥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시장은 관세 위협을 무시하고 거래와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8월 1일까지 마감일을 연장하고, 마감일이 더 연기될 수도 있다는 언급이 나오는 것은 협상 의지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은 다른 증거가 나올 때까지 이러한 움직임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8월 1일 이후로는 관세 부과 시점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놨으나 시장은 개의치 않았다. 트럼프가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만큼 또다시 조정될 수 있다고 시장은 보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이날 필리핀을 포함한 7개국에 새롭게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보냈으나 시장은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로 여기는 분위기다. 인도와 유럽연합(EU)에 아직 서한이 발송되지 않은 점에 대해선 협상에 진척이 있다고 시장은 보고 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였다. 유틸리티는 1% 상승했다. 엔비디아의 '축포'에 시총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들도 모두 강세로 보조를 맞췄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메타, 알파벳이 1%대 상승세를 보이며 인공지능(AI)이 여전히 시장의 주도 테마라는 점을 확인시켜줬다. 테슬라는 최근 약세로 시총이 1조달러를 밑돌고 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은 최대 1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는 중국 사업부문의 지분 매각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도 강보합으로 그쳤다. 미국 에너지 기업 AES는 회사 매각 검토 소식이 전해지며 20% 급등했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미국 법무부가 메디케어 청구 관행에 대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2% 가까이 하락했다.

 

오후에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연내 기준금리 인하를 놓고 의견들이 부딪치고 있음을 확인해줬다.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회의에서 "두 명의(a couple of)" 참가자는 "데이터가 예상대로 전개된다면 그들은 다음 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 범위 인하를 검토하는 데 열려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두 사람은 6월 FOMC 직후부터 이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기하며 파장을 일으켰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와 미셸 보먼 금융감독 부의장으로 추정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확률을 63.9%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은 60.8%였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