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물 국채금리 0.11%p 하락하며 2.99%로 떨어진 건 위안
13일 물가지표 높게 나오면 1%포인트 인상안까지 검토할 수도
![]() |
▲ 미국 증시의 나스닥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1일(현지시간) 급락한 채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의 확산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일제히 하락으로 마감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4.31포인트(0.52%) 하락한 31,173.84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95포인트(1.15%) 떨어진 3,854.4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2.71포인트(2.26%) 밀린 11,372.6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64.33포인트(2.46%) 급락한 2,553.69를 나타내며 장을 종료했다.
개별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6.5%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이 1.4%, 엔비디아가 4.3%, 아마존닷컴이 3.2%, AMD가 3.0%, 마이크로소프트가 1.1%, 구글의 알파벳이 3.0%, 메타가 4.6%, 넷플릭스가 5.1% 급락하며 마감했다.특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수 계약을 파기한 트위터는 11.25%나 하락했다.
트위터의 주가 하락은 향후 머스크와의 소송전에 대한 리스크와 함께 트위터 자체의 사업 전망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증시 투자자들은 중국 마카오의 코로나19 관련 봉쇄 소식과 함께 오는 13일에 발표되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향방에 주목했다. 전문가들은 6월 CPI가 전달의 8.6%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6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 올라 5월의 8.6% 상승을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한다는 조짐이 나오지 않으면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은 7월을 넘어 9월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CPI 인상 폭이 9%를 넘어설 경우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7월에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넘어서는 1%포인트 인상안까지 검토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또한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기업들의 2분기 실적발표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도 주가를 끌어내린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10년물이 0.11%p 하락하며 2.99%로 떨어진 것을 비롯해 2년물도 0.049p 하락하며 3.07%를 나타내고 있다.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웃도는 금리 역전이 지속됐다.
레피니티브의 자료에 따르면 8일 기준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들의 2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팬데믹 기간인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에너지 섹터를 제외하면 2분기 순이익은 3%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섹터의 2분기 순익 증가율은 239.1%에 달한다.
올해 6월 미국의 기준금리 75bp 인상에 반대했던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공격적 금리 인상이 초래할 위험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조지 총재는 "불확실성이 고조된 시기에 긴축정책의 변화 속도가 가계와 기업,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염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 인상이 얼마 되지 않아 시장에서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내년 금리 인하 전망까지 나오는 것은 놀랍다며 "이러한 전망이 나오는 것은 빠른 금리 인상이 경제나 시장이 조정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긴축이 초래할 위험을 불러오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지지하며, 미국은 더 높은 금리 인상을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이날 7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재차 언급하며 예상보다 물가 지표가 훨씬 더 악화하면 1%포인트 금리 인상도 가능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실적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어느 정도 반영됐는지를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인워트 함브로스의 파하드 카말 수석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실적은) 소비자 심리, 지출에 있어 커다란 지표가 될 것"이라며 "전망치가 정말로 중요하며, 이것들은 소비자들이 올해 남은 기간 어떻게 행동하고, 소비가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엄청난 통찰력을 가져다줄 것이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블랙록의 로라 쿠퍼 매크로 전략가는 "중앙은행들이 계속 금리를 인상하고, 잠재적으로 침체 위험이 커지는 환경에 있다"며 "우리는 각기 다른 지표에 시장이 반응하고, 실적에 반응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것은 앞으로 우리를 상당한 변동성 시기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3%로 전장의 92.4%에서 올랐다. 1%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7.0%로 전장의 7.6%에서 하락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