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무실 이전 등 쟁점사항 많아 합의 이뤄질지 관심
추경예산안이나 코로나19 민생회복은 접점 찾을 듯
![]() |
▲ 2019년 7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당시 신임 검찰총장이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간담회장으로 향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6시 청와대에서 첫 회동을 한다. 지난 16일 회동을 갖기로 했으나 무산된 지 12일 만이다. 아울러 대통령 선거일인 9일 이후 19일 만에 당선인과 대통령이 첫 만남을 갖는 셈으로 역대 당선인과 대통령의 만남 중 가장 늦은 기록을 세웠다.
이제까지는 2007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이명박 당시 당선인, 2012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박근혜 당시 당선인 간 9일 만의 회동이 '최장 기록'이었다.
이번 회동은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 형식으로 이뤄지며,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배석한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지난 27일 오전 같은 시간에 각각 브리핑하고 이같은 소식을 동시에 발표했다.
양측은 이번 회동이 정해진 의제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만찬 테이블에 어떤 의제가 오를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그중에서도 윤 당선인이 추진하겠다고 밝힌 5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이나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집행 등이 대화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진전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무엇보다 윤 당선인 측의 핵심 국정과제인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가 의제로 오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윤 당선인은 임기 시작과 동시에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청와대는 안보 공백 등을 이유로 무리한 면이 있다며 공개적으로 제동을 건 바 있다.
윤 당선인 측이 집무실 이전에 쓰고자 했던 예비비 지출 관련 안건도 지난 22일 국무회의에 상정되지 않았다. 윤 당선인으로서는 청와대의 협조가 절실한 대목으로 이번 회동에서 이 문제를 꺼내 들며 예비비 집행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임기 마지막 날까지 군 통수권을 행사하겠다고 공언한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를 수용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 자리에서 타결이 이뤄질지는 예단하기 힘들다는 관측이다.
이번 회동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문제가 거론되면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사면 문제도 언급될지 주목된다. 아울러 50조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비롯한 코로나19 민생회복 방안에 대해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