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합참 청사로 이전하고 합참은 남태령 지역으로 이동
![]() |
▲ 청와대 본관/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하며 차기 정부에는 청와대가 아닌 용산시대를 선언했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고 오는 5월 10일부터 새 용산 집무실에서 근무를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70년 넘게 권력의 정점으로서 역할을 하던 현재의 청와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기존 청와대는 국민에게 개방하겠다는 구상이다.
윤 당선인은 그동안 대통령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이었던 청와대를 이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바꿔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극복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나 국방부 이전 등에 따른 문제가 있는 데다 멀쩡한 곳을 놔두고 청와대 이전을 꼭 해야 하는 것이냐는 국민 반대여론과 함께 현 정부가 얼마나 협조적으로 임할 것이냐는 과제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더불어민주당은 "졸속·횡포"라며 집무실 이전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집무실 이전을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이 깊어지며 정국의 주요 변수로 떠오른 모습이다.
게다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반대하는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 동참 인원이 20만명을 넘겼다. 청원인은 "윤 당선인이 자기 만족을 위해 국가 안전의 최후 보루인 국방부의 전문 시설을 강압적으로 옮기고 있다"며 "집무실 이전을 막아달라"고 촉구했다. 이 청원글에는 20일 오후 10시 30분 현재 25만여 명이 동의를 표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전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어려운 일이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내린 결단"이라며 대통령실 용산 이전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그는 "5월 10일 취임식을 마치고 바로 입주해 근무를 시작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도 공원을 조속히 조성해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윤 당선인의 구상이다.
이에 따라 지난 70여 년간 권력의 정점을 상징했던 '청와대 시대'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용산 시대'가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 청사로 들어가면 국방부는 합참 청사로 이전하게 된다고 윤 당선인은 말했다. 옆 건물로 이전하는 것이어서 이전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합참 청사는 한미연합사의 평택 이전에 따라 남태령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언급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