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이란 전쟁 끝나고 금리도 하락 나스닥-다우-S&P 사상 최고치로 가나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6-25 06:03:18
트럼프가 이란에 대한 제재를 완화할 것이라는 관측에
국제 유가가 6% 넘게 급락한 점도 주가를 밀어 올려
파월은 7월 금리인하 가능성에 여지를 두면서도 가능성은 작다고 시사
▲미국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국제 유가가 급락하고 국채금리도 하락한 덕분에 최고치로 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중동지역에서 큰 긴장을 불러왔던 '이란 전쟁'이 끝나면서 3대 지수가 급반등세를 이어가며 마무리했다. 이 중 S&P500지수는 어느새 최고치에 근접하는 모습이었다. 이날 급반등은 이스라엘과 이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휴전에 들어가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시장에 확산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7.24포인트(1.19%) 상승한 43,089.02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7.01포인트(1.11%) 상승한 6,092.18을,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81.56포인트(1.43%) 오른 19,912.53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97.56포인트(3.77%) 급등한 5,441.87을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0.8%, 엔비디아 2.5%, 아마존닷컴 2.0%, 메타 1.9%, 브로드컴 3.9%, 구글의 알파벳 0.9%, 넷플릭스 2.0%, 팔란티어 2.3%, AMD 6.8%, ARM이 4.7% 상승하며 마감했다. 다만 애플은 0.6%, 테슬라가 2.3%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하락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0%포인트(3.0bp) 하락한 4.293%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4%포인트(1.4bp) 내린 3.814%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3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5포인트(1.09%) 상승한 43,047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4포인트(1.07%) 상승한 6,089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84포인트(1.45%) 뛴 19,915를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77포인트(3.38%) 급등한 5,421을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란과 이스라엘이 이날부터 휴전에 들어가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확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동부시간으로 이날 새벽 1시쯤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이 발효됐다고 전했다. 이스라엘도 양국이 휴전에 들어갔음을 공식 확인했다.

 

휴전 선언 이후 이란이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발사하고 이스라엘이 강력 대응을 천명하며 다시 긴장감이 고조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가 휴전을 이행하라고 강하게 압박하면서 양국은 일단 무기를 거둬들인 상태다.

 

UBS글로벌웰스매니지먼트의 솔리타 마르첼리 미주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확전과 그에 따른 휴전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지정학적 충격이 세계 금융 시장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며 "투자자들이 펀더멘털에 다시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리의 견해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란이 원유 수송의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가능성도 작아지면서 국제유가가 6% 넘게 급락한 점도 주가를 밀어 올렸다. 트럼프가 이란에 대한 제재를 완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유가를 짓눌렀다.

 

파이퍼샌들러의 크레이그 존슨 수석 시장 분석가는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에 유가는 64~65달러까지 추가 하락하면서 새로운 지지선을 시험했다"며 "유가가 여기서 지지받지 못하면 60달러 아래로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7월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 여지를 두면서도 가능성은 작다고 시사했다. 그는 이날 미국 하원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에 출석해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두고 "여러 경로가 가능하다"면서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억제된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시점에 도달하겠지만 특정 회의(시점)를 지목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하고 고용시장도 강하다"고 강조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 이상 떨어졌고 기술과 통신서비스, 의료건강, 금융은 1% 이상 올랐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테슬라와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올랐다.

 

브로드컴은 4% 가까이 뛰었다. HSBC가 브로드컴에 대한 투자 의견을 '보류'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영향으로 매수세가 몰렸다. 브로드컴의 강세에 반도체주 전반적으로 열기가 확산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날 3.77% 급등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은 모두 주가가 강세였다.

 

엔비디아는 2.59% 뛰었으며 TSMC와 ASML은 4%대 강세였다. AMD는 6.83% 튀어 올랐다. Arm과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마이크론테크놀러지, 램리서치도 4%대 강세였다.

 

오라클도 3.98% 상승했다. 금융주를 대표하는 비자와 마스터카드도 2%대 강세를 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넷플릭스, JP모건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유가 급락으로 엑손모빌은 3% 하락했고 셰브런도 2.25% 떨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7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을 81.4%로 높여 반영했다. 파월이 7월 인하 가능성을 낮춘 데다 다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도 잇따라 매파적 발언을 내놓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