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신용등급 하락에 강한 조정..."골디락스 바꿀 정도는 아니다"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08-03 06:02:13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10.47포인트(2.17%) 급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46.61포인트(3.80%) 급락
미국 국채금리는 오전에 상승하다 오후 들어 혼조세로 전환
▲미국 뉴욕증시는 2일(현지시간) 미국 신용등급 하락에 3대 지수가 일제히 조정국면을 거쳤다. 사진은 뉴욕증시 전광판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올해 들어 조정다운 조정이 없던 차에 신용평가사 피치가 한 방을 제대로 날린 탓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특히 지난 5개월 연속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던 나스닥을 비롯해 반도체 지수의 하락폭이 큰 모습이었다. 

 

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8.16포인트(0.98%) 하락한 35,282.52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3.34포인트(1.38%) 하락한 4,513.3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10.47포인트(2.17%) 급락한 13,973.45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46.61포인트(3.80%) 급락한 3,711.60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2.6% 하락한 것을 비롯해 AMD 7.0%, 엔비디아 4.8%, 애플 1.5%, 마이크로소프트 2.6%, 메타가 2.6%, 아마존닷컴 2.6%, 구글의 알파벳이 2.4%, 넷플릭스가 2.0%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미국 국채금리는 오전에 상승하다 오후에 혼조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23%포인트(2.3bp) 상승한 4.069%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31%포인트(3.1bp) 내린 4.881%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날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에서 내렸다는 소식이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다. 특히 지난 몇 달간 강세를 보여온 시장이 이번 뉴스를 차익실현의 빌미로 삼는 모습이었다는 분석이다.

 

미국 주요 신평사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으로 과거 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했을 당시에는 미국 증시가 폭락한 바 있다.

 

피치는 전날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내렸다. 지난 5월 미국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 관찰 대상'으로 지정한 후 3개월 만에 나온 결정이다. 피치는 보고서에서 "향후 3년간 예상되는 미국의 재정 악화와 국가채무 부담 증가, 거버넌스의 악화 등을 반영했다"라며 특히 미국 정치권의 부채한도 이슈에 대한 '벼랑 끝 전술'도 이번 등급 평가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등급 강등 조치에도 미국 국채 시장은 예상보다 잠잠한 모습이었다.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과거 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던 때와는 다른 모습이다. 당시에는 부채한도 협상이 결렬될 위험에 주가는 8월 초부터 하루에도 4% 이상 하락했었고, 실제 등급이 강등된 8월 7일 다음날이었던 월요일 주가는 6% 이상 폭락했다. 2011년 8월 한 달간 S&P500지수는 최대 15% 폭락했었다.

 

전문가들도 이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이 신용등급이 떨어졌다고 해서 미국 국채에 대한 투자 가치가 하락했다고 투자자들이 보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다만 이번 악재가 지난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온 주요 지수에 차익실현의 빌미가 될지 주목된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피치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자의적이며 오래된 데이터를 토대로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투자자들은 이날 발표된 민간 고용 지표에도 주목했다. 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7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32만4천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달의 45만5천명보다는 줄었으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17만5천명을 큰 폭으로 웃돌았다. 7월 임금 상승률은 전년 대비 6.2%를 기록해 전월의 6.4%보다 둔화했다.

 

투자자들은 다음날 나올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를 주시하고 있다. 고용이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일 경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중반을 넘어선 가운데,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82%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내놨다. 이 같은 소식은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높여 주가를 떠받치고 있다.

 

반도체 기업 AMD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소폭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매출이 크게 하락하는 등 PC 시장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소식에 급락했다. 스타벅스의 주가는 동일점도 매출 전망치가 기대를 밑돌면서 0.9%가량 상승하는 데 그쳤다.

 

CVS헬스는 예상치를 웃돈 실적 발표에 주가는 3% 이상 올랐다. 솔라에지 테크놀로지의 주가는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18% 이상 하락했다. 제약사 머크앤코의 주가는 손실 전환됐다는 소식에도 0.4% 올랐다. 크래프트하인즈의 주가는 매출이 기대를 밑돌았다는 소식에도 1%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의 골디락스 시나리오를 망칠 악재가 없다면 주가는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에번스 메이 웰스의 브룩 메이 매니징 파트너는 "(등급 강등은) 실망스럽지만, 단기적으로 경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는 다만 워싱턴 정가에 대한 경고이다"라고 평가했다.

 

에드워드 존스의 모나 마하잔 투자 전략가는 "투자자들은 피치의 강등을 이익실현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강한 상승 뒤에 시장 주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부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전체적으로 이번 사태는 미국 경제나 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바꾸지는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바클레이즈의 에마뉘엘 카우 전략가는 "연착륙이 빠르게 시장의 컨센서스가 되고 있으며, 주가는 강한 랠리 이후 숨 고르기에 나설 수 있다"며 "그러나 골디락스 이야기를 바꿀 부정적인 촉매제가 없다면 우리는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82.5%,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17.5%로 전날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