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9월 금리인하 94%' 나스닥-다우-S&P 급락 하루 만에 급등 되돌리기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8-05 05:57:55
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
연말까지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으로 높아져
팔란티어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에 시간외 주가 4% 이상 상승
▲미국 뉴욕증시는 4일(현지시간) 9월 금리인하가 거의 기정사실화되면서 급등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고용 쇼크로 인한 전날의 급락세를 단 하루 만에 거의 만회하는 수준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엔비디아 등 빅테크들의 급등세에 힘입어 2%에 육박하는 강세를 보였다. 오는 9월에 미국 연준이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날 대형 기술주(빅테크)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인 덕분으로 풀이된다. 

 

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85.06포인트(1.34%) 상승한 44,173.64를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03.45포인트(1.95%) 급등한 21,053.58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96.80포인트(1.75%) 상승한 5,624.41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3.6% 급등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2.2%, 애플 0.4%, 메타 3.5%, 브로드컴 3.1%, 구글의 알파벳 3.1%, 테슬라 2.1%, 넷플릭스 1.0%, 팔란티어 4.1%, AMD 2.9%, ARM이 1.8% 상승하며 장을 마쳤다. 다만 아마존닷컴은 1.4% 하락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일제히 소폭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20%포인트(2.0bp) 하락한 4.200%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6%포인트(1.6bp) 떨어진 3.688%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2시 15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9포인트(1.10%) 상승한 44,067을 나타내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79포인트(1.27%) 오른 6,317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75포인트(1.82%) 상승한 21,025를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91포인트(1.65%) 상승한 5,618을 기록하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에 영향을 줄 만한 경제지표나 이벤트는 별달리 없었다. 지난주에 주요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이벤트가 휘몰아쳤던 만큼 이번 주는 상대적으로 잠잠한 분위기다. 그럼에도 이날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것은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장 마감 무렵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은 더 강해졌다. 데일리는 이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동결) 결정은 안심됐지만 그와 같은 결정을 거듭하게 된다면 편안함은 덜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남은 기간 2회 금리인하는 여전히 적절한 분량의 금리 재조정으로 여겨진다"며 "금리인하를 2회보다 적게 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우리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0.3%에서도 추가로 상승하며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3회(75bp) 인하된다는 베팅도 전날의 46.4%에서 데일리의 발언 후 51.2%로 튀었다.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이다.

 

더블라인캐피털의 제프리 건들락 최고경영자(CEO)는 "경제 데이터가 약해졌음에도 연준은 올해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 전략가는 "오늘은 반등하는 날이라며 "주가는 하락 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바로 그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기술과 통신서비스는 2% 이상 뛰었고 소재와 의료건강, 유틸리티도 1% 이상 상승했다.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린아 팔란티어는 이날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뛰고 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이 10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16달러를 기록했다.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매출이 9억4천만달러, EPS는 0.14달러였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는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자사주 매입이 올해 들어 중단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2.9% 하락했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업체 피그마는 주가가 27.38% 폭락했다. 지난달 31일 증시에 상장되며 하루에 250% 폭등했던 피그마는 이날 가파르게 되돌림이 일어났다. 의류업체 아메리칸이글은 백인 우월주의적 광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 지지한 데 힘입어 주가가 23% 폭등했다.

 

한편 트럼프는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를 엄청난 양으로 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중 상당 부분을 국제시장에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며 인도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달 7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관세를 이보다 더 높이겠다는 것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