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은 4500, 나스닥은 14,100 돌파하며 최고치 향한 행진
국채금리 2년물이 전날보다 0.128%포인트(12.8bp) 급락한 4.614% 기록
![]() |
▲미국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생산자물가지지수마저 둔화되자 기술주 중심으로 급등세를 기록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CPI에 이어 PPI까지 극적인 인플레 완화에 힘입어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내리자 주가는 상승세를 달리고 있다. 이날은 소비자 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도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나와 기술주에 대한 투자심리를 호전시켰다는 분석이다.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3시 4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3포인트(0.30%) 오른 34,450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1포인트(0.94%) 상승한 4,51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37포인트(1.70%) 뛴 14,156을 나타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75포인트(2.04%) 오른 3,796을 가리키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4.7% 급등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2.4%, 메타 1.7%, 아마존닷컴 2.8%, 애플 0.6%, 마이크로소프트 1.8%, AMD 1.2%, 구글의 알파벳이 4.7%, 넷플릭스가 1.6% 상승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 일제히 급락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2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10%포인트(10.0bp) 급락한 3.761%, 2년물이 전날보다 0.128%포인트(12.8bp) 내린 4.614%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오전 11시 1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포인트(0.16%) 오른 34,402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포인트(0.54%) 상승한 4,496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1포인트(1.02%) 뛴 14,060을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42포인트(1.14%) 오른 3,763을 가리키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2.0% 상승한 것을 비롯해 메타 1.0%, 아마존닷컴 1.8%, 애플 0.2%, 마이크로소프트 1.2%, 구글의 알파벳이 4.2% 상승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0.2%, AMD 0.1%, 넷플릭스가 0.3% 하락하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0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9%포인트(3.9bp) 하락한 3.822%, 2년물이 전날보다 0.074%포인트(7.4bp) 내린 4.668%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오전 10시 2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1.80포인트(0.27%) 오른 34,439.23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1.42포인트(0.48%) 상승한 4,493.58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3.85포인트(0.82%) 상승한 14,032.81을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이날 발표된 6월 생산자 물가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 등을 주시했다.
전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 올라 전달의 4.0% 상승과 시장의 예상치인 3.1% 상승을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이 막바지에 다다를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됐다.
이날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달보다 0.1% 상승해 시장의 예상치인 0.2% 상승보다 낮았다. 이날 수치는 전달의 0.4% 하락에서 상승세로 전환됐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 올라 전월의 0.9% 상승에서 크게 낮아졌다.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로 소매 물가에 이어 도매 물가도 빠르게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다만 미국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감소세를 보여 고용 시장은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8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3만7천명으로 전주보다 1만2천명 감소했다.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2년물 국채금리는 현지시간 오전 10시 30분 무렵 8bp 이상 떨어지며 4.66%대까지 밀렸다. 10년물 국채금리도 4bp 이상 하락한 3.82%를 나타냈다.
연준이 이달에는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9월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을 쉬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9월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11%에 그쳤다. 1주일 전에 30% 수준이었던 데서 크게 낮아진 것이다.
연준이 9월에 금리 인상을 한 번 더 쉴 경우 지금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라면 연준이 연말까지 한 번 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물 건너갈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되고 있다.
연준이 계획한 대로 12월 회의까지 금리를 총 2회 인상할 가능성은 13.2% 수준으로 1주일 전의 36% 수준에서 하락했다. 즉 시장에서는 연준의 7월 회의가 이번 주기 마지막 금리 인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가 시작된 가운데,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도 커졌다.
델타 항공은 이날 지난해의 두 배 이상인 분기 순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혔으나 주가는 0.6%가량 하락 중이다. 펩시코는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해 주가는 0.7%가량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다면서도 노동시장이 타이트해 긴축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되면서 시장의 관심이 기업들의 실적으로 쏠릴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오피스의 마이크 로웬가르트 모델 포트폴리오 구축 책임자는 "PPI는 전날의 CPI에서 나타난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해줬다"며 "그러나 예상보다 낮은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가 노동시장의 타이트함이 계속되고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고 지적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