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유가, 4거래일 만에 하락 WTI 배럴당 78달러...천연가스는 소폭 상승 전환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02-10 05:30:01
미국의 원유재고가 240만 배럴 증가했다는 소식에 약세 전환
천연가스, 100만 BTU당 0.06달러(2.6%) 상승한 2.460달러

▲ 미국 뉴욕에서 9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내리고 천연가스는 소폭 상승했다. 사진은 미국 텍사스 미들랜드 지역의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어제에 이어 이날도 엇갈렸다. 다만 이날은 전일과 달리 유가는 내리고 대신 천연가스 가격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먼저 유가는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4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41달러(0.52%) 하락한 배럴당 78.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유가는 전날 미국의 원유재고가 7주 연속 올랐다는 소식을 뒤늦게 소화하며 하락했다. 전날까지 3거래일간 유가는 7%가량 올랐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도 한국시간 10일 오전 5시 18분 현재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4월물이 전일보다 0.98달러(1.15%) 하락한 배럴당 84.1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지난 3일로 끝난 한 주간 미국의 원유재고는 240만 배럴 증가했다. 이는 7주 연속 늘어난 것이다. 재고 증가 소식에도 전날 유가는 오름세를 지속했으나 이날은 하락 반전했다.

 

씨티인덱스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시장 애널리스트는 유가가 지난 며칠간 인상적으로 오른 이후 하락했다며 "차익실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원유 공급 지표가 약세 쪽이었기 때문에 전날 유가는 분명 떨어졌어야 했다"고 말했다.

 

ING의 이와 맨데이 원자재 전략가는 "한 주간 정제 활동이 강한 모습을 보인 점은 시장에 지지력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맨데이 전략가는 정유 설비가동률이 2.2%포인트 증가한 87.9%를 기록해 올해 들어 최고치를 보였다며 정제 활동이 강해진 것이 재고 증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자료에 따르면 휘발유 재고는 500만 배럴 늘었고, 디젤 및 난방유 재고는 290만 배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중국의 원유 소비에 대한 기대가 유효한 점은 유가를 지지하고 있다. ANZ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중국의 원유 소비가 올해 하루 100만 배럴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르면 올해 1분기 말에 강한 증가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중국의 이러한 수요 증가는 올해 전 세계 글로벌 수요를 하루 210만 배럴 늘리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국제 천연가스 가격은 한국 시간 10일 오전 5시 15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64달러(2.67%) 상승한 2.46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9일 오전 5시 17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80달러(6.97%) 급락한 2.404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는 최근 시세로 비교할 때 최저치에 해당된다.

 

8일 오전 5시 36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33달러(5.41%) 상승한 2.590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지난 7일 오전 5시 16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64달러(2.66%) 상승한 2.474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지난 4일 오전 5시 14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48달러(1.95%) 하락한 2.408달러를 기록하며 3일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3일 오전 5시 22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09달러(0.36%) 하락한 2.459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2일 오전 5시 12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3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87달러(6.97%) 급락한 2.497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