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 뉴욕증시, 금리 오르자 차익매물 늘며 다우-나스닥-S&P 1% 이상 급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07-19 04:26:01
엔비디아 1.3%, 메타가 2.5%, 인텔이 0.5% 올라 이에 비해 애플이 2.1%,
테슬라 0.2%, AMD 3.1%, 아마존닷컴 2.4%, 마이크로소프트 1.3%,
알파벳 2.2%, 넷플릭스 0.6%, 코인베이스가 7.1%, ARM이 4.2% 하락
▲미국 뉴욕증시는 18일(현지시간) 차익매물이 늘며 3대 지수가 1% 이상 하락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국채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다우 지수를 비롯해 S&P500, 나스닥 지수가 모두 1% 이상 하락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3시 21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582포인트(1.41%) 하락한 40,615를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2포인트(1.12%) 하락한 5,52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21포인트(1.23%) 내린 17,776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48포인트(0.89%) 하락한 5,361을 가키리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3% 상승한 것을 비롯해 메타가 2.5%, 인텔이 0.5% 오르고 있다. 이에 비해 애플이 2.1%, 테슬라 0.2%, AMD 3.1%, 아마존닷컴 2.4%, 마이크로소프트 1.3%, 구글의 알파벳 2.2%, 넷플릭스 0.6%, 코인베이스가 7.1%, ARM이 4.2% 하락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엔 제법 큰 폭 상승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08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50%포인트(5.0bp) 상승한 4.196%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42%포인트(4.2bp) 오른 4.471%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오전 11시 5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55포인트(0.62%) 하락한 40,943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0포인트(0.73%) 하락한 5,548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98포인트(1.10%) 내린 17,798을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57포인트(1.05%) 하락한 5,351을 가키리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5% 상승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1.7%, 메타가 0.8% 오르고 있었다. 이에 비해 애플 2.3%, AMD 3.1%, 아마존닷컴 2.9%, 마이크로소프트 1.7%, 구글의 알파벳 2.0%, 넷플릭스 1.1%, 코인베이스가 5.0%, ARM이 4.6% 하락하고 있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하고 있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38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21%포인트(2.1bp) 상승한 4.167%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09%포인트(0.9bp) 오른 4.438%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앞서 오전 10시 3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70.00포인트(0.41%) 상승한 41,368.08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59포인트(0.33%) 오른 5,606.8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1.94포인트(0.23%) 반등한 18,038.86을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 주간(7~13일)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 24만3천 명으로 직전 주에 비해 2만 명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22만9천 명)를 웃돈 수치다. 지난 주 급감했던 실업보험 청구 건수가 이번 주 다시 증가하며 고용시장 둔화를 시사한 셈이다.

 

미국 경제분석기관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6월 경기선행지수(LEI)는 전월 대비 0.2% 낮아진 101.1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날 미국 정부가 반도체 수출 규제 수위를 강화할 수 있다는 보도에 하락폭이 커졌던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 주들은 종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대만 반도체 제조회사)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분기 실적을 내놓고 연간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이날 오전에는 주가가 하락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 반전하고 있다. TSMC는 지난 2분기(4월~6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0.1%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순이익도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칩 판매 실적 향상에 힘입어 36.3%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날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지원 정책을 비난하며 TSMC를 대표적 수혜 기업 중 하나로 지목한 여파로 주가가 3.14% 하락한 바 있다.

 

종합미디어기업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디지털 스트리밍·스튜디오 운영 사업부를 TV 네트워크 사업에서 분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주가가 상승했다. 텍사스에 기반을 둔 레스토랑 체인 추이스 홀딩스는 유명 파스타 전문점 올리브 가든의 모기업 다덴이 6억5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한 소식에 주가가 47% 이상 뛰었다.

 

투자관리사 뉴욕 라이프 인베스트먼츠의 수석 시장전략가 로렌 굿윈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를 2~3개월 앞둔 상태에서 볼 수 있는 시장"이라며 중소형주를 비롯 고금리의 영향을 받던 종목들이 상승 무드에 있다고 말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의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연준이 9월에 금리를 25bp 인하할 확률은 93.5%, 50bp 인하 확률은 4.6%, 동결 가능성은 1.9%로 반영됐다.

 

국제 유가는 내림세를 나타냈다.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53% 하락한 배럴당 82.41달러, 9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 대비 0.39% 내린 84.7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