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천연가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6거래일 연속 올라...유가는 소폭 하락 전환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10-11 04:59:53
WTI, 전장보다 0.41달러(0.47%) 하락한 배럴당 85.97달러에 거래
천연가스, 100만 BTU당 0.013달러(0.39%) 상승한 3.389달러 거래
▲미국 뉴욕에서 10일(현지시간) 천연가스는 6거래일 연속 상승을 이어간 반면 국제 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사진은 캘리포니아 잉글우드 유전에 있는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10일(현지시간) 천연가스 가격은 소폭이지만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100만 BTU당 3.4달러에 근접한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국제 유가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도 불구하고 이날은 소폭 하락했다. 

     

먼저 유가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을 주시하며 소폭 하락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41달러(0.47%) 하락한 배럴당 85.9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에 4% 이상 오른 바 있다. 그러나 하루 만에 반락했다. WTI 가격은 지난 9거래일 중에서 6거래일간 하락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시간 10월 11일 오전 4시 02분 현재 12월 인도분이 전장보다 배럴당 0.55달러(0.62%) 하락한 87.60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원유 시장 참가자들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 따른 공급 차질 위험을 평가하면서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사태가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등 산유국들의 공급에 미칠 영향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하마스의 이란 배후설이 어떻게 전개될지도 주시하고 있다. 앞서 외신들은 이번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 이란이 배후라고 보도했으나 이란 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스톤X의 알렉스 호데스는 보고서에서 "이란의 개입 가능성이 사실로 입증되면 이미 타이트한 원유 시장에서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과거에 이란이 하마스를 지원해왔으나, 이번 사태와 관련 이란의 개입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아직 없다"라고 덧붙였다.

존 커비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앞서 CNN 인터뷰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란이 하마스 공격에 개입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코메르츠방크의 카스텐 프리치 애널리스트는 이란의 산유량이 지난 8월 기준 하루 310만배럴에 달한다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한 직후인 2018년 가을 이후 최대 규모라고 말했다.

글로벌 성장률 전망치가 소폭 하향 조정됐다는 소식도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3.0%를 기록하고, 내년 2.9%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전망치는 이전과 같고, 내년 전망치만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5.0%로 기존의 5.2%에서 하향 조정됐고, 내년은 4.5%에서 4.2%로 하향 조정됐다.

경기 침체 위험은 크게 낮아졌으나 세계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액티브트레이즈의 리카르도 에반젤리스타 선임 애널리스트는 "유가 하락에도 여전히 시장은 이스라엘 상황에 불안한 상태이며, 이는 더 큰 불안으로 이어지고, 유가를 작년 이후 볼 수 없었던 수준까지 다시 밀어 올릴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그는 "원유 트레이더 관점에서 보면 가장 큰 관심은 이란의 잠재적 개입과 그러한 전개가 공급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고, 가격을 끌어올릴지 여부다"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국제 천연가스 가격은 6거래일 연속 상승하고 있다. 한국시간 11일 오전 3시 58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13달러(0.39%) 상승한 3.38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10일 오전 4시 54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47달러(1.41%) 오른 3.385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난 7일 오전 3시 58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85달러(5.84%) 급등한 3.351달러에 거래되고 있었다. 이에 앞서 6일 오전 4시 25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14달러(7.22%) 급등한 3.176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5일 오전 4시 36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40달러(1.36%) 상승한 2.989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