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0.6%, 넷플릭스 0.3%, 구글의 알파벳 2.1%, 코인베이스 7.0%,
ARM이 7.4% 상승 이에 비해 테슬라는 3.3% 하락
![]() |
▲미국 뉴욕증시는 22일(현지시간) 장 후반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 매수세가 들어오며 1% 이상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그동안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장 후반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난주에 대대적인 조정을 받은 매그니피센트7(M7·애플, 아마존닷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테슬라, 엔비디아) 주식이 강하게 반등하면서 투자 심리가 회복된 모양새다. 다만 테슬라는 이날도 3% 이상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2시 2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58포인트(1.21%) 급등한 38,444에 거래되고 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69포인트(1.40%) 오른 5,037을, 나스닥지수는 244포인트(1.60%) 급등한 15,526을 기록하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96포인트(2.24%) 급등한 4,403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4.7% 급등한 것을 비롯해 AMD 1.9%, 메타 1.2%, 아마존닷컴 1.7%, 애플 1.1%, 마이크로소프트 0.6%, 넷플릭스 0.3%, 구글의 알파벳 2.1%, 코인베이스 7.0%, ARM이 7.4% 상승하고 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3.3% 하락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장 후반 상승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2시 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2%포인트(1.2bp) 상승한 4.627%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07%포인트(0.7bp) 오른 4.976%를 가리키고 있다.
앞서 현지시간 오전 11시 24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포인트(0.08%) 상승한 38,018에 거래되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7포인트(0.15%) 오른 4,974를, 나스닥지수는 13포인트(0.09%) 오른 15,295를 기록하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8포인트(0.20%) 상승한 4,315를 가리키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4% 상승한 것을 비롯해 AMD 0.05%, 아마존닷컴 0.05%, 애플 0.04%, 구글의 알파벳 0.2%, 코인베이스 2.9%, ARM이 4.2% 상승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4.8%, 메타 1.2%, 마이크로소프트 0.5%, 넷플릭스가 0.7% 하락하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장 초반 혼조세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포인트(1.0bp) 상승한 4.625%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09%포인트(0.9bp) 오른 4.96%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9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0.98포인트(0.34%) 상승한 38,117.38에 거래됐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7.42포인트(0.55%) 오른 4,994.65를, 나스닥지수는 113.29포인트(0.74%) 오른 15,395.30을 기록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며 지난주에 대형 기술주들이 대거 조정을 받은 후 이날 크게 반등하면서 3대 지수가 모두 강한 오름세를 나타냈다. 엔비디아는 전거래일에 10% 급락한 후 이날은 5%대 반등했다. 모건스탠리가 엔비디아에 대한 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하면서 매수세가 이어졌다.
다만 테슬라는 여전히 3%대 하락했다.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세지면서 중국과 독일의 모델3 차량 가격을 인하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부진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주에 있을 매그니피센트7의 실적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오는 23일 테슬라를 비롯해 24일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 25일에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A 실적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중동 위험은 아직 남아 있지만 이란과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충돌은 수면 아래로 잠복한 상태다. 이스라엘이 라파 지역 공습에 나서면서 전선이 옮겨가는 양상이다. 이에 이란과 이스라엘의 전면전에 대한 우려는 완화됐다.
CME그룹의 페드와치에 따르면 미 연준의 6월 금리동결 확률은 83.0%에 달했다. 6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은 16.4%였다.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장 후반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46% 하락한 배럴당 81.84달러에, 6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0.42% 내린 86.92달러에 거래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