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는 전장 대비 0.41달러(0.63%) 내린 배럴당 65.11달러에 거래 마감
![]() |
▲미국 뉴욕에서 30일(현지시간)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동반 하락세를 나타낸 가운데 천연가스는 8% 가까이 급락했다. 사진은 미국 원유 저장 시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30일(현지시간)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은 공급 증가 우려로 동반 하락했다. 특히 천연가스 가격은 8% 가까운 급락세를 기록했다.
먼저 뉴욕 유가는 공급 증가 우려로 4거래일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3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41달러(0.63%) 내린 배럴당 65.11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 대비 0.16달러(0.24%) 낮아진 배럴당 67.61달러에 마감했다. WTI와 브렌트유는 지난 24일 이후 처음으로 동반 하락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중동의 군사적 긴장감이 완화한 가운데 시장의 시선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연합체인 OPEC+의 추가 증산으로 쏠리는 모양새다. OPEC+는 내달 6일 열리는 회의에서 하루 41만1천배럴 규모의 증산을 8월에도 이어가는 결정을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OPEC+는 애초 지난 4월부터 하루 13만8배럴씩 단계적 증산을 이어가기로 했다가 5월부터 하루 41만1천배럴로 증산 속도를 끌어올렸고, 이후 6월과 7월에도 같은 폭의 증산을 결정한 바 있다. 삭소뱅크의 올레 한센 원자재 전략 책임자는 "이러한 잠재적 공급 압박은 여전히 저평가돼 있으며, 원유는 추가 약세에 취약한 상태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협상 중단 엄포에 미국 테크기업을 상대로 한 이른바 '디지털세' 부과를 철회하기로 하면서 양국 간 협상이 재개된 점도 유가 하락에 일조했다.
지난 27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의 디지털세를 거론하며 "이 지독한 세금 때문에 우리는 이로써 캐나다와 모든 무역 대화를 즉각적으로 종료한다. 우리는 캐나다가 미국과 사업을 하기 위해 내야 하는 관세를 향후 7일 내로 캐나다에 알려줄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 중 캐나다산은 60% 남짓을 차지한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이날 급락하고 있다. 한국시간 7월 1일 오전 4시 25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8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92달러(7.81%) 급락한 3.447달러를 마크하고 있다.
지난 28일 오전 4시 35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8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07달러(5.87%) 급등한 3.733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27일 오전 4시 42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8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35달러(0.98%) 하락한 3.534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앞서 26일 오전 4시 33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7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87달러(2.38%) 하락한 3.568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지난 25일 오전 4시 35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7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48달러(3.88%) 급락한 3.662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