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CJ제일제당 제공.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CJ제일제당은 3분기(CJ대한통운 제외) 매출 5조1399억원, 영업익 3867억원이라고 14일 공시했다. K 푸드와 바이오 등 글로벌 사업의 꾸준한 성장이 이를 견인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1.7%, 영업익은 20% 증가한 것이다.
자회사 CJ대한통운을 제외하고 CJ제일제당 분기 매출이 5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외 매출 비중은 약 62%를 넘어섰다.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3분기 CJ제일제당 매출은 8조118억원, 영업익은 4842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9% 늘고 영업익은 11.8% 증가한 것이다.
식품 사업 부문은 3분기 매출 3조558억원(전년비 +18.4%), 영업익 2093억원(+12.5%)이다.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 푸드 해외 판매 호조 등에 힘입은 것이다. 식품 사업은 사상 처음 분기 매출 3조원, 영업익 2000억원을 넘겼다.
국내보다 해외 사업 매출(+22.8%)과 영업익(+50% 이상)이 크게 늘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 사업 국가에서 비비고 브랜드 글로벌 전략 제품(GSP)을 중심으로 확장을 이어갔다. 고수익 핵심 제품군 판매 증가와 비용 구조 개선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비비고 GSP는 만두·치킨·가공밥·롤·K 소스·김치·김 7종이다.
특히 슈완스는 생산성 개선과 판촉 효율화, 매출 성장에 따른 고정비 절감 등이 주효하며 영업익이 두 배 이상(+114%) 늘었다.
국가별로는 GSP 매출이 40% 이상 늘어난 미국뿐 아니라 최근 사업 경쟁력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선 유럽(+67%), 중국(+29%) 등에서 K 푸드 영토 확장을 이어갔다. 미국은 그로서리 채널 만두 매출이 62% 늘면서 시장 점유율도 44%를 돌파, 1위 지위를 굳건히 지켰다. 냉동 레디밀 매출은 81%, 냉동 피자 매출은 44% 늘었다. 유럽·중국 등에서도 대표 제품 만두를 중심으로 K 푸드 영향력을 확대했다.
국내 식품 매출은 전년 대비 15.1% 성장한 1조6736억원이다. 소비 트렌드에 맞춰 외식 수준의 높은 품질, 가성비를 갖춘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면서 온라인·B2B·편의점 등 성장 채널의 유통 비중을 확대한 결과다. 이와 함께 전 가치 사슬에 걸친 비용 감축 노력으로 전방위적인 비용과 원가 상승에 대응했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 그린바이오가 주력인 바이오 사업 부문은 매출 1조3094억원(+25.4%)으로 2개 분기 연속 1조3000억원을 넘어섰다. 3분기 영업익은 원부재료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25.8% 증가한 1603억원이다.
주력 제품인 아미노산 경우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는 시장지배력을 무기로 성장세를 이어갔고,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우수 입지를 바탕으로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 아울러 제품과 솔루션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별화된 ‘기술마케팅’으로 고수익 스페셜티 제품이 성장하는 성과도 있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피드앤케어는 매출 7747억원(+28.9%), 영업익 171억원(+94.3%)이다. 지난 분기까지 약 1년여간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으로 수익성 정체를 겪었지만 최근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사업 국가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되고 생산성 향상을 지속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당분간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CJ제일제당은 구매, 생산 역량 강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핵심 제품의 국내외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식품에서는 K 푸드 글로벌 영토 확장과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고 식물성 식품(플랜트 베이스드)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바이오에서는 해양 생분해 소재 PHA와 CJ바이오사이언스 중심의 레드바이오 사업 등 미래 신수종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미래 준비를 위한 고부가 가치 신제품 개발과 신사업 강화, 연구 개발 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