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GS리테일 제공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그린 라이프 투게더'를 지향하는 GS리테일(대표 허연수·김호성)은 통합 후 첫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4일 GS리테일 홈페이지를 통해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GS리테일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작년 첫 발간에 이은 두 번째다. GS홈쇼핑과 통합한 후로는 첫 번째다. 해당 보고서는 통합 GS리테일 ESG 전략과 각 환경·사회·지배 구조 각 분야별 성과를 담고 있다.
또 경영 전략과 연계한 ESG 전략이 실행되도록 CEO가 주관하는 ESG 추진협의회를 정기 운영하고 주요 임원 6명과 실무팀으로 구성한 ESG 실무협의체를 통해 전략 과제 실행을 점검하는 GS리테일만의 체계를 보여준다.
또 이번 보고서에서 GS리테일은 지난해 통합 후 실천 기반의 실질적인 ESG 활동을 위해 '자기주도연구회'를 설립, 각 비즈니스 유닛(BU)별 과제 이행 진척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신규 안건을 발굴하는 조직 체계를 신설했다고 밝혔다.
GS리테일 통합 후 ESG 전략 세부 내용도 담고 있다. 앞서 GS리테일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그룹 내 유통 부문 통합 법인으로서 "고객의 모든 경험을 연결하고 데이터로 공감하며 상품과 서비스로 신뢰받는 플랫폼이 되겠다"는 새 비전을 선포하기도 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을 위해 GS리테일은 통합 후 새로운 ESG 전략 체계를 수립, '그린 라이프 투게더'라는 ESG 중장기 비전 아래 ▲그린 프로덕트(상품) ▲그린 스토어(점포) ▲그린 밸류체인(환경경영) ▲투게더 임플로이(임직원) ▲투게더 파트너(협력사) ▲투게더 커스터머(고객) ▲투게더 커뮤니티(사회공헌) 등 7가지 전략 과제를 선정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환경 분야에서 GS리테일은 자체 개발 '스마트 스토어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SEMS)'을 적용한 GS25를 작년까지 전국 누적 기준 1만1241점까지 늘렸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과 온실 가스 배출 감소에 앞장서오고 있다. 또 환경부 지정 녹색 매장 3개점, 녹색 건축 인증 매장 1개점 등 친환경 매장을 적극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사회공헌 활동 집행 금액만 지난해 48억원에 달하기도 했다. 사회적 약자 자립 지원 프로그램인 내일 스토어(취약계층 자활 지원)와 드림 스토어(청년자립 지원), 시니어 스토어(노년층 일자리 지원) 등 자립 지원 매장도 50여점에 이른다.
최근 산불 등 자연 재해 피해 지역 주민 긴급 구호 물품 전달뿐 아니라 GS리테일과 임직원 매칭 펀드 방식으로 'GS 러브 러브 펀드' 캠페인을 통해 취약한 환경의 어린이에게 신선한 먹거리와 과일을 지원하고 있다. 이외 지역 농산물 활성화, 중소 농가 육성 등 지역 상생 발전에도 적극 나서오고 있다.
안성연 GS리테일 컴플라이언스실장은 "GS리테일은 통합 후 여성 사외 이사 선임 등 이사회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뿐 아니라 사외이사 평가 제도 도입과 운영, 주주 소통을 위한 이사 선임 등 지배 구조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또 이번 보고서는 친환경 취지를 살리기 위해 홈페이지를 통한 링크 이동이 자유로운 인터액티브 PDF로 발간했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