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월 부시청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비전과 전략 선포식에서 가덕도신공항 홍보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최성호기자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국책사업인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에서 현대건설이 전격적으로 철수 결정을 내렸다. 당초 ‘우선협상대상자’로서 사업 주도권을 쥐고 있던 현대건설은 정치·지역적 갈등 속에서 공기(工期) 단축을 강요받으며, 안전과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여건에 더 이상 응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현대건설은 30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국책사업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해 왔지만, 불합리한 조건을 수용할 수 없기에 사업 참여를 포기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촉박한 일정은 고난이도 해상공항 공사의 본질적 특성과 충돌하며, 결과적으로 국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전·품질 위해 필요한 공기 확보 불가… 철수 불가피”
현대건설은 서울 남산 3배에 달하는 절취량과 여의도 2.3배 면적의 부지조성을 수반하는 이번 공사에서 ‘공기 확보’가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며, 안전과 품질을 위한 최소한의 공기조차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 이상의 참여는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이미 국토교통부가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했고, 부산시와 시민단체가 현대건설의 입찰 배제를 촉구하며 대규모 상경집회까지 열었기 때문에 사업 추진의 현실적인 기반도 무너졌다는 분석이다.
“사익 추구? 억울하다… 600억 투입해 기본설계 완료”
현대건설은 지난 6개월간 250명의 전문가를 투입해 6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기본설계를 마쳤다. 일본 간사이공항, 홍콩 첵랍콕공항, 무안공항 사고 등 사례를 철저히 분석하고, 해상공사의 특수성과 리스크를 고려해 현실적인 공사기간을 산출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를 ‘공기 지연을 통한 공사비 증액 시도’로 왜곡하며, 현대건설이 국책사업을 지연시키는 사익 집단으로 몰아세웠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국민 안전을 우선시한 기술적 판단이었고, 억울한 오명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후속 사업자 위해 기본설계 권리도 포기
현대건설은 사업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설계도서’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후속 사업자가 설계를 그대로 이어받아 신속하게 공사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정부가 새로운 입찰 절차를 시작하면 후속 사업자의 선정에도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다만, 이는 현대건설의 단독 입장으로, 컨소시엄 전체는 해체되지 않도록 고려해, 다른 참여 기업들이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배려하겠다고 덧붙였다.
국책사업, 기술 아닌 정치로 흔들려선 안 돼
이번 사태는 가덕도신공항이라는 국가 대형 인프라 사업이 기술적 검토보다 지역 여론과 정치적 요구에 좌우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공기 단축이라는 정치적 압박이 결국 주요 건설사를 이탈시키는 결과를 초래했고, 향후 입찰 과정에서도 주요 기업의 참여 기피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해상공항처럼 안전 리스크가 높은 공사에서는 더욱더 기술 기반의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현대건설의 철수는 단순한 민간 기업의 철회가 아닌, 국책사업 추진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점검 신호로 받아들여야 할 시점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