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제품 생산 이미지 합성/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 관세를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인들에 대한 비자 발급을 중단해 파장이 예상된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 변화는 한국에도 적지 않는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 기업들이 다음 달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의 초청장을 받았음에도 미국 정부가 '입국 비자' 발급을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개막을 약 한 달 앞둔 CES 참가 중국 기업의 직원 상당수가 미국 비자 발급을 거부 당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CES 참가 기업 4천개 중 중국은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를 두고 현재 전례 없는 일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번 CES 행사는 내년 1월 7∼10일 나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중국 베이징에서 근무하는 한 기술 마케터는 "주중미국대사관에서 비자 인터뷰를 하면서 CES 초대장을 보여줬는데 담당자는 이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 같았다"면서 "CES 참석을 언급하면 90% 확률로 비자가 거부된다는 이야기가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고 SCMP에 말했다.
미국 뉴욕 소재 컨설팅회사 아이엠팩트(iMpact)의 창립자인 크리스 페레이라는 "해외 시장 확장을 희망하는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조사한 결과 40곳 중 절반이 직원들의 비자 발급 거부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면서 "심지어 코로나 기간에도 CES 참가를 위한 비자는 발급됐었다"고 지적했다.
CES 대변인도 "중국에서 오는 CES 참가자들의 비자 신청이 거부됐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인 기업인들에 대한 입국 비자 발급 중단에 따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하는 등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시기에 비자 거부 사태가 벌어졌다고 SCMP는 밝혔다.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미 국무부는 대규모 비자 거부 사태에 신속히 대응하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미국 정부는 비자 발급 장벽을 낮춰 양국 간 정상적인 인적·비즈니스적 교류를 촉진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이 같은 대규모 비자 거부 사태는 이례적이기에 미국 내에서조차 정치적 동기를 의심하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CES에서 '탈 중국화'가 진행된다면 이 박람회가 과연 대표적인 국제 행사로서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심된다"고 덧붙였다.
또 "최근 몇 년간 중국 기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진 이 분야에서 미국이 이처럼 폐쇄적이고 보호주의적 태도를 취한다면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변화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미국 대외정책의 입장은 대선 당시 블름버그 인터뷰를 통해서 밝혔다.
트럼프는 인터뷰에서 '중국의 수입품에 대한 美 관세는 60~100%의 관세를 적용하며 그 외 국가는 협상에 따라 10% 정도를 정한다'고 말했다.
실제 트럼프는 당선 이후,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이전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려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미국 국민들이 미국 제폼 등을 사용하는 폭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이민 정책 역시 미국내 불법 체류중인 외국인에 대하여 강제적인 추방정책 등을 통해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